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유니타스라이프
  • #️⃣️ 태그로 보는 브랜드 주제
  • 해외인터뷰
  • 분류 전체보기
    • about
      • 편집장의 글
    • 시즌2 엔텔러키브랜드
      • 엔텔러키브랜드
      • 엔텔러키브랜드 골목대학
    • 브랜드골목대학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런칭 시뮬레이션
      • 브랜드 서신 VOL 26
    • 브랜딩
      • 브랜드, 브랜딩이란?
      • 브랜드 B자 배우기
      • 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 브랜드와 트렌드
      • 작지만 강한, 스마트하게 브랜딩
      • 원형의 브랜딩, RAW
      • 브랜딩의 연금술, 판타지
      • 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 전략의 시각화, 디자인 경영
      • 브랜드 경험
      • 브랜드 철학의 전략화
      • 브랜드의 영혼, 컨셉
      • 브랜드 묵시록, 런칭
      • 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 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 브랜드 팬덤 매니아, 뱀파이어, 오라클
      • 불황에서 브랜딩, 불황으로 브랜딩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브랜드인사이트
      • 브랜드직관력
      • 브랜드임계명언
    • 소셜 브랜드 SOCIAL BRAND
      • 사회적 브랜드
    • 에코시스템브랜드
    •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 자기다움
    • 휴먼브랜드
    • 창업
      • 브랜드창업
      • 창업 입문
    • 프로젝트 다큐
    • 리더십바이러스
    • 유니타스라이프
    • 시장조사와 여행
    • 나듦의 계절, 인디언 섬머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과로사(過勞死)와 복사(複死),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2022.03.14 by Content director

  • 티모시 컬킨스, 빅브랜드의 브랜드십의 DNA, 권한 위임과 가치

    2022.03.11 by Content director

  • 당신은 브랜더(brander)입니까?

    2022.03.10 by Content director

  • 패트릭 한론, 브랜드 생태계의 평형을 찾는 힘, 문화

    2022.03.10 by Content director

  • 누가 브랜드의 운명을 결정하는가? Critical Person

    2022.03.10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십을 위한 조건. 브랜드십으로 완성하는 브랜드

    2022.03.10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를 통한 경영으로 브랜드를 안에서부터 관리하고 경영한다.

    2022.03.08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2022.03.08 by Content director

  • 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2022.03.07 by Content director

  •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리더십, 영속가능경영을 위한 브랜드십

    2022.03.07 by Content director

  • 랜더(Landor)가 말하는 브랜드의 총체적 경험 창조 방법

    2022.03.04 by Content director

  • 도날드 노먼, 브랜드는 감정의 관한 것, 지속적인 관계가 목표이다.

    2022.03.03 by Content director

  • 반(反) 브랜드주의자의 급진적 조언

    2022.03.02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 마니아가 되는 것은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때문이다.

    2022.03.02 by Content director

  • 케빈 호건, 소비자의 비의식을 자극하라. 중독으로 이끄는 호르몬 샤워, Chemical Bath

    2022.03.02 by Content director

  • 온브랜딩은 브랜드의 인간화다. Humannization ON

    2022.03.02 by Content director

  • ‘참여’에서 ‘몰입’으로, 디지털미디어와 브랜딩

    2022.02.28 by Content director

  • 스캇 데밍, Brand Identity는 Brand Experience를 구축하는 것이다.

    2022.02.28 by Content director

  • I²(Identity✕Integrity)✕ Technology = 온브랜딩

    2022.02.28 by Content director

과로사(過勞死)와 복사(複死),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직장인들이 절대로 겪지 말아야 할 비참한 최후가 있다. 하나는 과로사(過勞死)이고 다른 하나는 복사(複死)다. 이중 복사(複死, copy)는 겹칠 복(複) 자를 죽을 사(死) 자와 조합한 신종 산재 개념으로, 직장의 일원으로 살다가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지는 것(은퇴 혹은 해고)을 의미한다. 복사(複寫) 본으로의 죽음, 복사(複死) 기업이 직원을 복사(複死)하는 것은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에서 새로운 인력을 투입하고 낙후된 인력을 내보내는, 일종의 기업의 생명을 지속시키기 위한 자구책이다. 이것은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근간으로 한 기업의 생존 시스템이다. 직원들은 조직에 적합하게 규격화되고 복사(複寫)된다. 이것이 현실이다. 대부분은 기업의 생리, 허무주의와 냉소주의에 젖어 있는 선배들의 충고, 다른 직장..

휴먼브랜드 2022. 3. 14. 11:41

티모시 컬킨스, 빅브랜드의 브랜드십의 DNA, 권한 위임과 가치

The interview with 티모시 컬킨스(Timothy Calkins) 인간의 생명력은 유한하다. 아무리 뛰어난 창업자나 리더가 있더라도, 영속 가능한 브랜드가 되기 위해서는 한 명의 리더가 아닌 조직에 의해 구축되는 브랜드십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곧, 리더가 직원들을 브랜드에 몰입시키는 과정을 수반하게 된다.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의 켈로그 경영대학원에서 브랜드와 마케팅을 강의하는 브랜드 이론가 티모시 컬킨스는 영속하는 브랜드가 되기 위한 첫걸음을 ‘브랜드가 리더라는 개인을 뛰어넘는 것’이라고 말한다. ‘어떻게 하면 그 브랜드(조직)에 직원들을 몰입시킬 것인가’를 고민하는 브랜드 구축자들에게 커다란 도전이 되는 일 중 하나입니다 UnitasBRAND 유니타스브랜드가 정의하는 브랜드십이란, 브..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2022. 3. 11. 14:58

당신은 브랜더(brander)입니까?

브랜드십에서 다루고자 한 내용은 ‘브랜드’가 아니라 브랜드라는 ‘일’이었다. 도대체 브랜더는 어떤 일을 하고, 누구와 일하며 그리고 어떻게 일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다루고자 했다. 브랜드가 브랜드로 거듭나게 하는 일은 복잡하며 광범위하다. 이는 한 사람의 재능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경영자를 비롯한 조직원 모두가 함께 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신은 무슨 일을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일하는가? 진정한 브랜더란 자신의 브랜드를 너무나 사랑해서 사용자에게 자신의 마음을 전달하려는 사람이다. 브랜더? 현재 브랜드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은 모호한 직무로 인해 여러 사람에게 이런 이야기를 듣고 있을지 모른다. “도대체 저분이 하는 일이 뭐죠?” 브랜더는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일까? 어떤 일을 정하기보다 어떤 사람인지를..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2022. 3. 10. 15:11

패트릭 한론, 브랜드 생태계의 평형을 찾는 힘, 문화

Written by 패트릭 한론(Patrick Hanlon) / Exclusively for Unitas BRAND 브랜드와 동전의 앞, 뒷면 같은 리더, 브랜드와 샴쌍둥이 같은 리더, 브랜드와 자웅동체 같은 리더. 이런 리더들이 있기에 이들의 강력한 리더십 스타일은 종종 브랜드의 문화로 오인되곤 한다. 과연 이들의 리더십 스타일이 브랜드의 문화라고 할 수 있는가? 물음에 대한 답과 브랜드십에 대한 의견을 묻기 위해 《열광의 코드 7》의 저자이자 브랜드 컨설팅 전문가인 패트릭 한론에게 우리의 생각을 전했을 때, 그는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한 편의 원고로 보내 주었다. 기업이 리더 없이 혼란에 휩싸이는 시기에 브랜드 생태계를 원상태로 돌려놓을 힘으로 지목한 것이 과연 무엇인지 찬찬히 살펴보고자 한다. 브랜..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2022. 3. 10. 14:49

누가 브랜드의 운명을 결정하는가? Critical Person

오늘날 브랜드의 영향력은 실로 광범위하다. 브랜드는 고객과의 관계를 형성하며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기업의 존폐를 결정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인류의 문화와 문명에도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브랜드가 어떠한 영향력을 가졌느냐에 따라 그 브랜드는 중요할 수도 있고, 매우 위험할 수도 있다. 당신의 브랜드에서 중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사람은 누구인가? 혹은 그 사람은 누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기업에서 결정적 순간에 결정적 선택을 하는 사람은 경영자다. 그래서 경영자는 분명 첫 번째 Critical Person이다. Critical 리더십 브랜드 경영에서 Critical의 세 가지(①비판적인 ②위험한 ③중요한)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누구일까? Critical의 어원적 의미를 살펴보자..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2022. 3. 10. 13:35

브랜드십을 위한 조건. 브랜드십으로 완성하는 브랜드

우리가 보기에는 기업이 브랜드를 만드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브랜드가 기업을 만들고 있다. 시장에서 브랜드는 수요와 공급을 위한 상품(서비스)으로 여겨지지만 실제로 브랜드는 인간과 관계를 형성하는 유기체다. 유기체란, 물질이 일정한 목적 아래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생활 기능을 가지게 된 조직체를 말한다. 브랜드가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각 부분과 전체가 작동하는 유기체가 되면, 그 브랜드는 생명력을 가진다. 그리고 기업의 리더가 아닌 브랜드 자체가 모든 의사 결정과 행동의 기준이 될 때, 그 브랜드는 브랜드십(BrandShip)을 가진다고 한다. 브랜드십을 가진 브랜드는 지속 가능할 수 있고, 이는 곧 유한한 생명의 리더가 이끄는 기업의 생명을 영원 불멸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기업의 머리는 브랜드가 되..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2022. 3. 10. 11:49

브랜드를 통한 경영으로 브랜드를 안에서부터 관리하고 경영한다.

Management by Brand로 가는 3 STEP 브랜드뷰 BrandView 브랜드니스 BrandNess 브랜드십 BrandShip 성공적인 브랜드의 힘은 내부에서 나온다. 겉치장에 치중한 Managing Brand 패러다임에서 전 직원들이 브랜드를 중심으로 움직이도록 이끄는 Management by Brand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기업의 중심을 완전히 바꿔버리는 중대한 패러다임 전환기를 관리할 수 있는 3 STEP을 소개한다. 브랜드를 멋지게 치장하기보다는 직원들 스스로 브랜드에 동화되도록 만들고, 그 직원들이 브랜드 활동을 자발적으로 하게 이끄는 것이 Management by Brand이다. Managing Brand에서 Management by Brand로 많은 경영자들이 브랜드의..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2022. 3. 8. 16:05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브랜드 교육’이란 무엇인가? 누군가는 브랜드 이론을 배우는 과정이라고 할 테고, 다른 누군가는 우리 브랜드의 제품라인, 특장점, 주요 타겟에 대해 숙지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것이다. 진짜 ‘브랜드 교육’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의 존재 목적을 들여다봐야 한다. 브랜드 교육은 브랜드와 브랜드의 사람들을 일치시키는 과정으로 채용부터 일하는 방식, 브랜드 문화를 모두 아우르기 때문이다. 목적이 이끄는 브랜드, 브랜드 경영 브랜드 경영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부분의 경영자는 반사적으로 “브랜드를 운영하는 것” 이라고 답한다. 이 답에 재차 확인을 구하는 질문을 하면 당황하다가 멋쩍은 웃음과 함께 “브랜드를 ‘잘’ 운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브랜드 경영은 정의하기 어렵다. 현재까지 ‘브랜드 경영..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2022. 3. 8. 14:56

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기업의 브랜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그 필요성은 주로 실무자의 역량 개발 측면이나 브랜드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 제기되었고, 교육 역시 이에 기반하여 설계되어 왔다. 물론 이러한 측면이 무의미한 것은 아니지만, 브랜드 교육이 거시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직원’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브랜드 유전 정보를 가지고 브랜드의 생명력을 좌우하는 것은 결국 직원이다. 브랜드를 만들어 가는 직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인식의 프레임을 갖추었을 때, 브랜드 교육은 올바른 지향점을 찾아 갈 수 있다. 어떤 변화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항상 자기다움을 유지하면서 시장을 이끌어 갈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브랜드를 강력한 아이덴티티가 구축된 브랜드라고 말한다. 최고의 차별..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2022. 3. 7. 15:44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리더십, 영속가능경영을 위한 브랜드십

지속가능경영이란 기업이 전통적으로 추구하는 이익뿐만 아니라 환경이나 윤리와 같은 사회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기업가치를 지속적으로 향상 및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개념은 사회적인 요구에 의해 출현했지만, 법인으로서 기업이 어떻게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을까에 관한 자구책이기도 하다. 지속가능경영은 말 그대로 현재 기업 활동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에 관한 방법론적 접근이자 경영 혁신의 대안이라고 볼 수 있다. 기업은 스스로 존속(存續, Sustainability)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강력한 생명력을 가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지속’을 넘어 ‘영속’ 하기 위해서는 브랜드를 움직이는 진정한 힘, ‘브랜드십’을 이해해야 한다. 기업을 영속시키는 시스템, 브랜드 모든 기업이 지속가..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2022. 3. 7. 15:21

랜더(Landor)가 말하는 브랜드의 총체적 경험 창조 방법

The interview with Landor 뉴욕지점 매니징 디렉터 앨런 아담스(Allen Adamson) Landor(랜더)의 정체성은 클래머스호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우리의 정신적 유산은 그곳에 뿌리내리고 있다. 현재에도 계속 진행 중인 다르게 사고하는 방식과 창조적으로 협력하는 문화는 클래머스호를 대표하는 정신의 예”라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소개했다. 1960년대 샌프란시스코에서 월터 랜더(Walter Landor)는 ‘성공은 성공이 가진 문제들과 함께 온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가 개척한 일은 갑자기 인산인해를 이루었고 지붕 아래부터 꼭대기까지 채우고도 남을 만큼 신규사원들이 몰려들었다. 그는 200만 달러를 들여 사무실을 설계하고 다른 큰 에이전시 조직과 연합하는 대신 한 파산 경매에서 12..

브랜딩/브랜드 경험 2022. 3. 4. 13:08

도날드 노먼, 브랜드는 감정의 관한 것, 지속적인 관계가 목표이다.

The interview with 애플 부사장, 닐슨 노먼 그룹 창업자, IDEO 이사 Donald Norman 지난 7월 24일 도날드 노먼 교수의 트위터에 이런 글이 올라왔다. 120자 내외의 글이었다. “1993년 애플 UE 팀에는 나와 톰 에릭슨, 해리 새들러가 있었다.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이라는 단어가 이때 처음 사용됐다. 우리는 UE라고 불렀다. 그러나 누가 UX로 만들었는지는 모른다.” 그는 UE가 UX로 바뀐 연유를 알지 못한다고 잘라 말했다. 경험이라는 단어를 ‘E’가 아닌 ‘X’로 표기한 것은 보통 자음이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어쨌든 UX는 하나의 단어가 되었고, 도날드 노먼 교수는 최초로 UX를 연구한 대가가 되었다. UX와 그를 동격으로 보는 ..

브랜딩/브랜드 경험 2022. 3. 3. 19:43

반(反) 브랜드주의자의 급진적 조언

The interview with 닐 부어맨(Neil Boorman) “스물여섯 나이에 그토록 소중히 여기던 브랜드인 아디다스를 찾아가던 날, 영국 왕실의 식사 초대라도 받은 듯한 긴장감에 손은 땀으로 흥건하고 맥박은 요동쳤으며, 사무실은 아라비안 나이트에 나오는 보물 동굴 같았다.” 이 문장은 책의 제목으로 더 유명한 《나는 왜 루이비통을 불태웠는가》의 저자 닐 부어맨이 그의 책에서 밝힌 브랜드 중독자로서의 고백이다. 하지만 그는 현재 런던 한가운데에서 마치 물질문명을 벗어나 매사추세츠 주 콩고드 숲 작은 호숫가에서 오두막을 짓고 자급자족 생활을 했던 《월든》의 헨리 데이비드 소로와 같은 삶을 살아가고 있다. 급진주의는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 더구나 행동하는 급진주의자들은 더욱 그렇다. 닐 부어맨은 행..

브랜딩/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2022. 3. 2. 21:36

브랜드 마니아가 되는 것은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때문이다.

The interview with 앤 가드(Ann Gadd) “이해가 언제나 편안한 것은 아니다. 무언가를 조금 더 이해할수록 이전의 방식을 고수하기가 그만큼 힘들어진다. 예를 들어 신체적 세계의 새로운 면을 발견하는 일은 흥미로운 일이지만, 감정적 세계의 또 다른 면을 발견하는 일은 불편한 일이 될 수도 있다.” 《심리학, 습관에게 말을 걸다》의 저자 앤 가드는 책 서문에서 감정적 세계의 색다른 면을 발견하는 일이 불편한 일이 될 수도 있다고 미리 경고한다. 브랜드 입장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소비자들에 대해서 속속들이 알고 싶어 하는 것이 우리의 심리이지만, 만약 브랜드가 채워 줄 수 없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발견하게 된다면 그것이 얼마나 불편한 일이겠는가. 그러나 그녀는 끝까지 채워질 수 없는 소비..

브랜딩/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2022. 3. 2. 21:03

케빈 호건, 소비자의 비의식을 자극하라. 중독으로 이끄는 호르몬 샤워, Chemical Bath

The interview with Kevin Hogan ‘세일즈로 억만장자가 된 사람’ 이것이 케빈 호건(Kevin Hogan)의 또 다른 이름이다. 그는 어떠한 방식으로 고객을 ‘설득’하고 그들과 ‘관계’를 유지했기에 그러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을까? 그 성공의 비법이 담긴 책들은 10여 개 언어로 출간, 번역되어 이미 100만 부 이상이 판매되었다. 그에게 슈퍼내추럴 현상들에 대해 설명하고, 그러한 현상을 만드는 코드에는 무엇이 있겠냐고 물었다. 그는 ‘중독’의 코드를 답으로 내놓았다. 그리고 그 중독을 만들어내는 요인으로 ‘Chemical Bath’를 꼽았고, 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그는 영어 사전에도 없는 ‘비의식(nonconscious)’을 이야기했다. 낯선 단어(nonconscious)를 이..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3. 2. 18:20

온브랜딩은 브랜드의 인간화다. Humannization ON

The interview with tpf 셀 이스라엘(Shel Israel) 블로고스피어는 브랜든들이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 온브랜딩의 현장 중 하나이다. 그래서 많은 기업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브랜딩에 관심도를 높이고 있다. 소셜 미디어 전문가인 셸 이스라엘과 scobleizer.com을 운영하는 유명 블로거인 로버트 스코블은《블로그 세상을 바꾸다》에서 기업들이 블로고스피어에서 대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공저자인 셸 이스라엘에게 인터뷰를 요청하며 ‘블로그’에 대한 질문으로 일관하자 그는 먼저 다음과 같은 충고를 던졌다. 중요한 것은 블로그 자체가 아니라 소셜 미디어로서의 블로그이며, 세상을 바꾸는 블로깅의 핵심은 책의 원제에서 찾을 수 있듯 ‘Naked Conversation’, 즉 솔직한 대..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3. 2. 15:40

‘참여’에서 ‘몰입’으로, 디지털미디어와 브랜딩

The interview with 케롤린 핸들러 밀러(Carolyn Handler Miller) ‘어떤 일에 끼어들어 관계함’. 이것이 ‘참여’의 사전적 정의다. 그런 의미에서 온브랜딩은 ‘참여’를 전제로 한다. 어떤 일(한 기업의 브랜딩)에 끼어들어 관계(자신의 의견을 입 밖으로 내거나, 문자로 표현하고 그것을 공유하는)하는 것이 온브랜딩의 기본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저자 케롤린 핸들러 밀러가 강조하는 디지털 미디어가 힘을 갖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도 바로 이 ‘참여’다. 웹사이트에 ‘정보와 재미, 그리고 동질감의 코드를 심을 것’을 강조하던 그녀는 ‘참여’의 다음 단계까지 제시했다. 바로 ‘몰입’이다. 이 몰입이야말로 한 브랜드가, 그리고 웹페이지가 지속적으로 ON 될 수..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2. 28. 16:40

스캇 데밍, Brand Identity는 Brand Experience를 구축하는 것이다.

The interview with 스캇 데밍(Scott Deming) 전통적인 오프라인 비즈니스 모델을 상징하는 용어인 brick-and-mortar는 벽돌이라는 의미의 brick과 회반죽이라는 의미의 mortar의 합성어다. 이러한 기업들이 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면서 오프라인 기반 사업을 상징하는 brick과 인터넷의 상징인 click을 통합하여 온·오프라인 전략을 추구하는 bricks-and-clicks의 비즈니스 모델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서 《유니크 브랜딩》의 저자, 스캇 데밍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유연하게 오가는 하이브리드 전략이 온브랜딩에 분명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단순한 온·오프라인 통합이 아니다. 불록 렌즈가 빛을 하나로 모으더라도 종이의 연소점을 넘어야 태우는 것처럼..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2. 28. 16:32

I²(Identity✕Integrity)✕ Technology = 온브랜딩

The interview with 프랭크 피더 (Frank Feather) 미국의 검색엔진 마케팅 회사인 iprospect에 따르면, 전체 인터넷 사용자의 절반 이상이 검색으로 얻어진 결과 페이지에서 두 번째 페이지 이상은 보지 않는다고 한다. 어떤 정보든 인터넷에서 자주, 상위에 검색될 만큼 ‘존재감 있는 실체’가 되지 않으면 그 정보는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지지조차 않는다는 것이다. 《검색2.0 : 발견의 진화》의 저자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이 그의 책에서 미래 경쟁우위의 핵심으로 언급한 새로운 개념인 ‘파인더빌리티(Findability, 검색성)’와 비슷한 맥락이다. 어쩌면 사람들에게 이제 검색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되어버릴지도 모른다. 미래학자이자 ‘전지구적으로 생각..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2. 28. 15:29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2
다음
Copyright©The Unitas All Rights Reserved
푸터 로고 Sustainable Ecosystem
페이스북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