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유니타스라이프
  • #️⃣️ 태그로 보는 브랜드 주제
  • 해외인터뷰
  • 분류 전체보기
    • about
      • 편집장의 글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런칭 시뮬레이션
      • 브랜드 서신 VOL 26
    • 브랜딩
      • 브랜드, 브랜딩이란?
      • 브랜드 B자 배우기
      • 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 브랜드와 트렌드
      • 작지만 강한, 스마트하게 브랜딩
      • 원형의 브랜딩, RAW
      • 브랜딩의 연금술, 판타지
      • 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 전략의 시각화, 디자인 경영
      • 브랜드 경험
      • 브랜드 철학의 전략화
      • 브랜드의 영혼, 컨셉
      • 브랜드 묵시록, 런칭
      • 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 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 브랜드 팬덤 매니아, 뱀파이어, 오라클
      • 불황에서 브랜딩, 불황으로 브랜딩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브랜드인사이트
      • 브랜드직관력
      • 브랜드임계명언
    • 소셜 브랜드 SOCIAL BRAND
      • 사회적 브랜드
    • 에코시스템브랜드
    •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 자기다움
    • 휴먼브랜드
    • 창업
      • 브랜드창업
      • 창업 입문
    • 프로젝트 다큐
    • 리더십바이러스
    • 유니타스라이프
    • 시장조사와 여행
    • 나듦의 계절, 인디언 섬머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휴먼브랜드

  • 새벽질문 : 브랜드 창업을 위한 13가지 질문

    2022.11.24 by Content director

  • 창업은 큰 꿈에서 작게 시작하라

    2022.11.21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 창업의 지식과 지혜는 자신의 삶 속에 있다

    2022.11.21 by Content director

  • [창업입문_01 요약] 창업이란 무엇인가?

    2022.11.14 by Content director

  • 창업 프로젝트 가동!

    2022.11.14 by Content director

  • 휴먼브랜드의 지능(자질)

    2022.11.14 by Content director

  • 이름이 상징이 되어 버린 휴먼브랜드

    2022.11.14 by Content director

  • 창업의 시작과 완성, 창업자의 휴먼브랜드

    2022.11.14 by Content director

  • 일상 속에서의 실전 창업 연습

    2022.11.14 by Content director

  • 창업 연습과 훈련, 일상의 기쁨과 감사

    2022.11.14 by Content director

  • 아버지학교, 창업자학교

    2022.11.14 by Content director

  • 자기다움과 아이덴티티 법칙

    2022.09.28 by Content director

  • 파리에서 온 창조적인 인문학자를 만나다, 까스텔바작(CASTELBAJAC)

    2022.06.08 by Content director

  • 자신의 이름으로 브랜드를 만들려면, 휴먼브랜드들의 브랜딩

    2022.04.20 by Content director

  • 과로사(過勞死)와 복사(複死),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2022.03.14 by Content director

  • 칩 히스, 강력한 메시지의 스틱! 그 비밀의 접착제를 발견하다

    2022.02.08 by Content director

  • 소비자 머리 속에 접근하는 '5가지 브랜드 성장 진화 코드'

    2022.02.08 by Content director

  • 2막 지극히 사적인 스토리, 이야기

    2021.12.22 by Content director

  • 인간은 원래 RAW하다. RAW브랜딩

    2021.12.15 by Content director

새벽질문 : 브랜드 창업을 위한 13가지 질문

키노트(Keynote)는 ‘으뜸음’이라는 음악 용어다. 음계의 첫 번째 음으로서 장조에서는 ‘도’이며, 단조에서는 ‘라’이다. 이처럼 키노트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노래는 달라진다. 당신의 창업 키노트는 무엇인가? 매출, 관계, 진보, 만족, 혁신, 경쟁, 가치 등 어떤 음이 키노트가 되느냐에 따라 창업의 배경 음악이 달라진다. 직원들은 그 음악을 들으면서 박자를 맞춰 춤을 출 것이다. 또한 소비자도 이 모습을 보고 함께 춤을 출 것이다. 이제 소개할 질문들은 창업을 위해 새벽에 일어났을 때 스스로 하는 질문이다. 질문에 답을 달고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다. 이론과 논리에 따라 말할 필요도 없다. 마음에서 울리는 대답을 쓰면 된다. 그림으로 그려도 된다. 한 단어로 써도 된다. 쓸 말이 당장 없다면 당장 쓰..

창업/창업 입문 2022. 11. 24. 15:17

창업은 큰 꿈에서 작게 시작하라

만약 대박만 꿈꾸는 창업이라면 항상 성과에 시달리게 된다. 반면에 보다 멀리 보고 큰 그림을 그리며 창업을 생각한다면 창업 성공 조급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2부에서 다룬 창업의 ‘창’인 시장조사 능력은 노력과 시간을 들여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이다. 많이 준비하고, 훈련할수록 실력이 늘어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자신이 창업할 매장(브랜드)을 구체화시킬 수 있다. 만약 행운이 따른다면 1년이 아니라 한 달 만에 자신이 만들고자 하던 매장을 찾아낼 수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최악의 창업 시나리오의 서곡일 뿐이다. 비록 창업을 할 수 있는 모든 요건들을 갖추고 있더라도 창업을 해서 매장(브랜드)을 경영할 만한 기본 지식과 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다면 그것은 폐업을 위한 창업이 된다. 자신의 창업을 알리기 위..

창업/창업 입문 2022. 11. 21. 14:22

브랜드 창업의 지식과 지혜는 자신의 삶 속에 있다

그들 창업자들이 보여 준 것은 독특한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이다. 그들의 이런 사고방식은 브랜드의 의미가 되었고, 생활방식은 브랜드의 스타일이 되었다. 영세 자영업 형태로 브랜드 창업을 해서 거대한 글로벌 브랜드로 키운 두 명의 리처드(Richard)를 소개하겠다. 한 명은 작은 레코드 가게로 창업해서 버진레코드와 버진 항공사 외 수십 개의 기업을 경영하는 버진 그룹의 창업주인 리처드 브랜슨(Richard Branson)이고, 또 한 명은 작고 허름한 옷가게에서 시작해 3개의 브랜드를 운영하는 어반 아웃피터스 그룹(Urban Outfitters Inc)의 창업자인 리처드 헤인(Richard Hayne)이다. 이 두 사람은 지금까지 이 창업이라는 주제에서 말한 브랜드 창업을 실제 성공으로 증명해 보인 사..

창업/창업 입문 2022. 11. 21. 14:18

[창업입문_01 요약] 창업이란 무엇인가?

*이 글은 [창업 입문] Chapter1의 핵심입니다. 제목 링크에서 해당 컬럼과 연결됩니다. 창업해서 매장을 내기 전에, 그리고 자신이 만든 상품에 이름을 붙이기 전에 제일 먼저 해야 할 것은 가장 먼저 창업자의 자신다움이 무엇일까를 찾고 완성시키는 것이다. 1. 브랜드는 구멍가게에서 시작된다. 크게는 수조 원에서 적게는 수천억 원의 매출을 올리는 브랜드의 창업은 대부분 ‘작은 가게’에서 시작됐다는 점을 알고 있는가? 과연 나이키, 아디다스, 푸마, 이케아, 레고, 그리고 스타벅스 등과 같은 브랜드 창업을 하려면 어떤 창업을 해야 할까? 성공한 창업주들과 브랜드의 성장 사례를 살펴볼 때 나타나는 특징은, 그들은 창업을 하기 전에 먼저 ‘의미와 가치’를 창조했다는 점이다. 아이템과 매장은 그것을 설명하는..

창업/창업 입문 2022. 11. 14. 18:15

창업 프로젝트 가동!

다시 원본으로 돌아가는 것이고 나를 나 되게 만드는 것이 바로 창업(재창조라고 말하고 싶다)이다. “사람은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원본으로 태어나 (다른 사람과 비슷한 스펙을 갖춘) 복사본으로 죽는다”라는 말이 있다. 비록 세상의 기준에 따른 스펙으로 취업을 했다면 창업을 하려는 지금부터는 자신의 스토리로 창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원본으로 돌아가는 것이고 나를 나 되게 만드는 것이 바로 창업(재창조라고 말하고 싶다)이다. ‘나를 나 되게 하는 창업=브랜드’를 위해서 어떤 프로젝트로 창업을 해야 할까? 그렇다면 ‘나를 나 되게 하는 창업=브랜드’를 위해서 어떤 프로젝트로 창업을 해야 할까? 먼저 프로젝트라는 단어의 정의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프로젝트’라는 말은 라틴어에서 유래했고, 그 뜻은 ‘..

창업/창업 입문 2022. 11. 14. 18:08

휴먼브랜드의 지능(자질)

능력(타고난 자질) 태도(하고자하는 마음가짐, 열정, 성실성 등) 사고방식(긍정적 사고방식, 긍정적인 사회적 영향력) 자신만의 독특한 사고와 행동의 조화 ‘다중지능이론’의 창시자이자 하버드교육대학원 교수인 하워드 가드너는 지능이 높은 아이가 모든 분야에서 뛰어나다라는 기존 이론을 비판하고, 인간의 지적 능력은 독립적이며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면서 여러 유형의 능력으로 구축된다는 것을 주장했다. 하워드 가드너가 말하는 8개의 지능 영역은 언어(linguistic), 논리수학(logi-cal-mathematical), 공간(spatial), 신체 운동(bodily-kinesthetic), 음악(musical), 대인관계(interpersonal), 자기이해(intrapersonal), 자연 탐구(natural..

창업/창업 입문 2022. 11. 14. 18:07

이름이 상징이 되어 버린 휴먼브랜드

브랜드는 인간관계에서 만들어지는 일종의 ‘약속과 인정’이기 때문에, 휴먼브랜드가 되려면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남들이 그 가치를 인정해야한다. 〈유니타스브랜드〉를 만들면서 자신의 이름으로 자신의 분야에서 기준 혹은 상징이 되거나, 자신의 이름으로 브랜드를 운영하는 사람들을 취재한 적이 있다. 헤드헌터 회사를 경영하는 유순신 대표, 사진작가 김중만, 이익훈어학원의 고故 이익훈 대표, 그리고 고故 소설가 이외수였다(선정 기준은 당시, 인지도와 영향력을 기준으로 편집팀에서 결정했다). 먼저 휴먼브랜드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휴먼브랜드에 대해서 들어 보자. 고 이익훈 대표는 휴먼브랜드를 이렇게 정의했다. “사람이 브랜드가 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가장 먼저 그 사람만의 특징이 있어야 ..

창업/창업 입문 2022. 11. 14. 18:04

창업의 시작과 완성, 창업자의 휴먼브랜드

휴먼브랜드의 목표는 자신의 상품가치를 높이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자신이 발견하고 깨닫게 된 삶의 가치를 모든 사람과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내가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이 무엇인가’에서 시작해서 ‘내가 파는 제품과 서비스에 그 소중함을 어떻게 담을 것인가’를 깨닫게 되고 실행하며 일관성을 가지게 될 때 휴먼브랜드가 된다. 1) 휴먼브랜드와 휴먼브랜딩 2) 이름이 상징이 되어 버린 휴먼브랜드 3) 휴먼브랜드의 지능 4) 창업프로젝트 가동! 사람(휴먼)이 브랜드가 되는 것 인간의 개성을 가진 이름으로 브랜드를 만들면 소비자와 매우 빠르고 깊게 교감할 수 있다. 브랜드의 컨셉을 위해서 자신의 이름을 고친 사람은 많다. 폴로를 만든 랄프 로렌은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이민 온 유대계 부모의 넷째 아이로 1939..

창업/창업 입문 2022. 11. 14. 18:01

일상 속에서의 실전 창업 연습

직장인으로서 창업주처럼 일하려면 모험을 해야 한다. 물론 오너처럼 일하면 안 된다. 나는 1990년 중반 당시 패션의 사관학교라는 곳에 근무하면서 가장 궁금했던 것이 성공한 선배의 출근 시간이었다. 동료들은 9시에 출근했지만 선배는 새벽 4시 30분에서 5시 사이에 출근했다. 동료들과 회의를 하고 일을 시작하려면 4시간 정도를 혼자 보내야 하는데 그 시간에 뭘 할까? 인터넷도 없던 시절이라 분명 책이나 신문, 아니면 관심 분야의 일을 정리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1년을 지켜보다가 선배의 그 기분을 알고 싶어서 나도 새벽에 출근해 봤다. 어제 밀린 일을 정리하고 관심 분야의 책을 읽었다. 가장 놀라운 변화가 일어났는데 10시간의 업무를 준비하기 위해서 1시간을 넘게 생각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냥 잡..

창업/창업 입문 2022. 11. 14. 17:58

창업 연습과 훈련, 일상의 기쁨과 감사

지금 하는 일상의 일과 창업을 연관 지으려면 마음부터 바꾸어야 하는데, 그 핵심은 지금 하는 일에서 행복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다. 누구라도 자신의 인생을 잠시 돌아보면 결과도 과정의 한 부분이고, 과정도 결과의 한 부분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때로는 끝이라고 생각한데서 새로움이 시작되고, 시작이라고 생각한데서 끝을 보기도 한다. 그렇다면 창업은 시작일까? 아니면 끝일까? 등 떠밀려 창업할 수밖에 없었다면 고난의 시작일 것이고, 예전부터 준비해 온 창업이라면 성공의 결과물이 될 수도 있다. 창업자 중에는 새롭게 인생을 출발한다는 목표 아래 뭔가 완전히 새로운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혹은 막연하게 꿈꾸던 좋아하는 일(확실히 좋아하는지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을 창업의 아이템으로 선정하는 ..

창업/창업 입문 2022. 11. 14. 17:55

아버지학교, 창업자학교

창업주는 나 홀로 모든 것을 헤쳐 나가야 한다는 책임감 때문에 비전보다는 걱정이 더 앞선다. 2002년 2월 27일 수요일 새벽 5시 30분, 나는 미처 마음의 준비도 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아버지가 되어 버렸다. 아내는 나름대로 10개월 동안 뱃속에 아기를 품고 태교라는 것을 했지만 당시 나는 창업 초기라서 아기의 출산 날짜만 알았을 뿐이지 뱃속에서 어떻게 자라 가는지는 전혀 몰랐다. 처음 아빠로서의 역할은 매우 고단했지만 쉬웠다. 해달라는 대로 해주면 끝이다. 하지만 초등학생이 되어 버린 지금은 해달라고 모두 해주면 안 되며, 하고 싶지 않은 것도 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이제 아빠에서 아버지가 되어 가고 있지만 나는 그동안 ‘아버지’에 관해서는 전혀 몰랐다. 내가 어렸을 때 아버지는 해외에서 근무하셨기..

창업/창업 입문 2022. 11. 14. 17:53

자기다움과 아이덴티티 법칙

돈을 시장에 쏟아부어 인지도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브랜드를 만들 수는 있으나, 나름의 아이덴티티로 자기다움을 가진 브랜드를 만드는 것은 아직 신비에 가깝다. 그런 신비한 비법 중에 검증된 브랜딩 기술이 있다. 바로 창업자의 ‘자기다움’으로 브랜드를 만드는 것이다. 캐주얼 브랜드인 랄프 로렌(Ralph Lauren)을 만든 랄프 로렌, 조르지오 아르마니(Giorgio Armani) 브랜드를 만든 조르지오 아르마니, 폴 스미스(Paul Smith)를 만든 폴 스미스, 루이 비통(Louis Vuitton)을 만든 루이 비통, 페라리(Ferrari)자동차를 만든 엔초 안셀모 페라리(Enzo Anselmo Ferrari)등. 이렇듯 어떤 사람의 이름은 제품에 붙여져 브랜드화되어 수십에서 수백 년 동안 존재하기도 한..

자기다움 2022. 9. 28. 14:23

파리에서 온 창조적인 인문학자를 만나다, 까스텔바작(CASTELBAJAC)

The Interview with 장 샤를르 드 까스텔바작(Jean-Charles de Castelbajac) 내일로 내딛는 발걸음 그 길 위에 미래를 바라보며 나의 추억들을 품고 간다 보석을 든 듯이 나의 죽은 친구들을 품고 간다 내가 사랑을 추구함에 있어 쟁취하는 것은 베풀기 위함임을 -까스텔바작- 까스텔바작은 직업으로서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보다 예술가로서 전 영역에서 자신의 창조물을 만들었다. 생각할수록 그의 용기가 놀라웠다. 아마도 그래서 그는 ‘용기’과 ‘명예’를 이번에 런칭할 브랜드의 ‘피’로 만들겠다고 한 것이 아닐까. 1 첫 번째 만남 2011년 5월, 드디어(?) 인문학적인 창조자를 만났다. 유니타스브랜드 편집팀이 한창 ‘브랜드와 인문학’이라는 주제로 자료를 모으던 중, 반가운 전화 ..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6. 8. 14:20

자신의 이름으로 브랜드를 만들려면, 휴먼브랜드들의 브랜딩

휴먼브랜드들은 자신만의 가치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면서 자신이 속한 분야에 ‘대표성’을 가지게 된 사람들로,마케팅 용어로 한다면 그들은 ‘강력한 포지셔닝을 통한 시장 리더십’을 쥐고 있는 사람들이다. 브랜드를 만드는 마케터나 브랜드 매니저, 디자이너들이 먼저 해야 할 것은 자신이 브랜드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브랜드는 어떻게 맛을 내고 있을까? 우리는 과연 우리의 브랜드 철학처럼 살고 있을까? 사장의 비전은 꿈꾸며 지르는 비명일까? 브랜드는 우리를 닮은 상품일까? 휴먼브랜드는 성공한 사람들의 작위가 아니다. 우리도 왜 휴먼브랜드가 되어야 할까? 브랜드를 만드는 사람들은 자신이 만드는 브랜드에 웬만한 사람도 가지고 있지 않은 철학, 비전, 가치 그리고 이미지를 주입한다는 것이다. 브랜드를 ..

휴먼브랜드 2022. 4. 20. 17:46

과로사(過勞死)와 복사(複死),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직장인들이 절대로 겪지 말아야 할 비참한 최후가 있다. 하나는 과로사(過勞死)이고 다른 하나는 복사(複死)다. 이중 복사(複死, copy)는 겹칠 복(複) 자를 죽을 사(死) 자와 조합한 신종 산재 개념으로, 직장의 일원으로 살다가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지는 것(은퇴 혹은 해고)을 의미한다. 복사(複寫) 본으로의 죽음, 복사(複死) 기업이 직원을 복사(複死)하는 것은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에서 새로운 인력을 투입하고 낙후된 인력을 내보내는, 일종의 기업의 생명을 지속시키기 위한 자구책이다. 이것은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근간으로 한 기업의 생존 시스템이다. 직원들은 조직에 적합하게 규격화되고 복사(複寫)된다. 이것이 현실이다. 대부분은 기업의 생리, 허무주의와 냉소주의에 젖어 있는 선배들의 충고, 다른 직장..

휴먼브랜드 2022. 3. 14. 11:41

칩 히스, 강력한 메시지의 스틱! 그 비밀의 접착제를 발견하다

‘스티커 메시지를 만드는 방법’으로 스탠퍼드 대학의 최고 명사가 된 «스틱 Made to Stick»의 저자, 칩 히스(Chip Heath)와의 인터뷰 The Interveiw with 칩 히스(Chip Heath) ‘뉴욕타임즈, 비즈니스 위크, 월 스트리트 저널이 선정한 베스트셀러’. 이처럼 화려한 수식어를 가진 «스틱 Made to Stick»은 칩 히스(Chip Heath)와 댄 히스(Dan Heath)가 공동으로 집필하였다. 칩 히스는 A&M대학에서 산업공학을 전공하고 스탠퍼드 대학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스탠퍼드 경영 대학원(Stanford Graduate School of Business) 조직 행동론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칩 히스는 무엇이 아이디어를 성공적으로 만드는지, 사람의..

휴먼브랜드 2022. 2. 8. 17:07

소비자 머리 속에 접근하는 '5가지 브랜드 성장 진화 코드'

브랜드 유전자 지도의 완성자이자 《다섯 가지 성장 코드》의 공저자인 안드레아스 부흐홀츠(Andreas Buchholz)와 볼프람 뵈르데만(Wolfram Wordemann)과의 만남 The interview with 안드레아스 부르홀츠 & 볼프람 뵈르데만(Andreas Buchholz & Wolfram Wordemann) 전 세계의 승리한 브랜드들은 공통점은 과연 무엇일까? 그들은 6년간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2만여 브랜드를 분석했고, 그 중 각각의 분야에서 동종의 경쟁 상품을 물리치고 승리한 1,045개의 브랜드들 특유의 경쟁력을 분석하여 그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모아진 브랜드 성공 요소를 주요 기업에 적용해 그 실효성을 검증하였으며, 브랜드 성공 요소와 그 적용 방법을 ‘성장 코드(Growth C..

휴먼브랜드 2022. 2. 8. 14:03

2막 지극히 사적인 스토리, 이야기

브랜딩 스토리의 시작은 바로 사람(창업자, 브랜드 생산자)에서 시작해서 사람(소비자)으로 끝나며 이 관계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로 구성된 합창곡이다. 말콤 글래드웰은 “가장 성공적인 아이디어는 마케터와 소비자의 관계에서가 아니라 소비자와 다른 소비자와의 관계를 통해 퍼져 나간다”고 말했다. 그 관계는 어떻게 이어지는가? 바로 스토리다. 여전히 사랑받으며 오래도록 회자되는 브랜드의 사적인 스토리들을 이야기해본다. 1. 기억의 이야기 사진은 크게 두 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기록인가? 상상인가? 라이카(Leica:유니타스브랜드 Vol.12 p198)로 찍은 사진들은 우리에게 상상력을 불러일으킬 만한 그 무엇을 보여 준다. 라이카로 찍으면 사진이 달라지는가? 아니면 라이카를 가진 사람들은 사진을 다르게 찍고 ..

브랜딩/브랜딩의 연금술, 판타지 2021. 12. 22. 12:00

인간은 원래 RAW하다. RAW브랜딩

브랜딩이라고 말하면 사람들은 ‘디자인’을 생각한다. 물론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래도 고상한 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브랜딩을 패키지, 광고 그리고 인지도 정도로만 생각한다. 그래서 브랜딩을 한다고 하면 제품을 어떻게 고쳐 보려고 노력한다. 브랜딩은 제품에 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마음에 하는 것이다. 물론 생산자 입장에서는 할 수 있는 범위가 ‘제품’이겠지만 여기까지가 브랜딩의 공정이라고 생각한다면 지극히 ‘공장장’ 입장에서 시장을 바라보는 것이다. 브랜딩의 끝은 상품이 아니라 사람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끝이 아니라 브랜딩의 시작이면서 동시에 끝이 사람인 것이다. 브랜딩은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어떤 체험을 주는가에 대한 관찰과 피드백 그리고 끊임없는 소통을 말하는 총체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 ‘마음..

브랜딩/원형의 브랜딩, RAW 2021. 12. 15. 15:17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Copyright©The Unitas All Rights Reserved
푸터 로고 Sustainable Ecosystem
페이스북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