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유니타스라이프
  • #️⃣️ 태그로 보는 브랜드 주제
  • 해외인터뷰
  • 분류 전체보기
    • about
      • 편집장의 글
    • 시즌2 엔텔러키브랜드
      • 엔텔러키브랜드
      • 엔텔러키브랜드 골목대학
    • 브랜드골목대학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런칭 시뮬레이션
      • 브랜드 서신 VOL 26
    • 브랜딩
      • 브랜드, 브랜딩이란?
      • 브랜드 B자 배우기
      • 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 브랜드와 트렌드
      • 작지만 강한, 스마트하게 브랜딩
      • 원형의 브랜딩, RAW
      • 브랜딩의 연금술, 판타지
      • 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 전략의 시각화, 디자인 경영
      • 브랜드 경험
      • 브랜드 철학의 전략화
      • 브랜드의 영혼, 컨셉
      • 브랜드 묵시록, 런칭
      • 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 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 브랜드 팬덤 매니아, 뱀파이어, 오라클
      • 불황에서 브랜딩, 불황으로 브랜딩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브랜드인사이트
      • 브랜드직관력
      • 브랜드임계명언
    • 소셜 브랜드 SOCIAL BRAND
      • 사회적 브랜드
    • 에코시스템브랜드
    •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 자기다움
    • 휴먼브랜드
    • 창업
      • 브랜드창업
      • 창업 입문
    • 프로젝트 다큐
    • 리더십바이러스
    • 유니타스라이프
    • 시장조사와 여행
    • 나듦의 계절, 인디언 섬머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브랜딩

  • 사회생물학의 창시자인 에드워드 O. 윌슨이 말하는 RAW

    2022.02.10 by Content director

  • 최상의 가치를 찾아 구매한다. 소비자의 ‘보물찾기’

    2022.02.09 by Content director

  • 시장조사의 기술, 모든 마케팅의 출발점이자 성패를 좌우하는 열쇠

    2022.02.09 by Content director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런칭에너지', 기업가 정신을 말하다.

    2022.02.09 by Content director

  • 미셸 슈발리에 인터뷰, 럭셔리 브랜드를 정의하다.

    2022.02.08 by Content director

  • 로버트 F. 하틀리, 너무 착해서 강력해진 브랜드

    2022.02.07 by Content director

  • 낸시 리, CSR·ESG전략가에게 묻는 기업 DNA를 추적하다

    2022.02.07 by Content director

  • 데이브 볼터, 고객이 최고의 마케터다

    2022.02.07 by Content director

  • 슈퍼내추럴 코드의 생성법, 그것은 바로 고객이다.

    2022.01.27 by Content director

  • 애플 매니아의 개인적 고백 - 또 애플? 지겹지 않은가?

    2022.01.26 by Content director

  • 소비자가 브랜드의 감성(感性), 문화를 만드는 슈퍼내추럴 코드

    2022.01.20 by Content director

  • 영혼이 있는 기업, 영성이 있는 브랜드, 공유하는 소비자

    2022.01.20 by Content director

  • Ontology, 브랜드에서 아이덴티티로

    2022.01.19 by Content director

  • 온브랜딩의 중심, ‘관계’는 무엇인가?

    2022.01.19 by Content director

  • 온라인이 만드는 관계의 ‘디지털 릴레이션십’

    2022.01.14 by Content director

  • 런칭에 있어 소비자조사, 질문에 답이 있다

    2022.01.13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 런칭, 흥망성쇠의 비례점

    2022.01.13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 묵시록, 런칭이 브랜딩이다

    2022.01.11 by Content director

  • 컨셉 능력을 어떻게 ‘학습’할 수 있을까?

    2022.01.11 by Content director

사회생물학의 창시자인 에드워드 O. 윌슨이 말하는 RAW

인간 본성의 깊은 근원인 자연에 대한 통찰 The Interview with 에드워드 O. 윌슨(Edward O. Wilson) 살아있는 최고의 생물학자. 21세기를 대표하는 과학 지성인 에드워드 윌슨은 생물학을 바탕으로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지식을 통합한 ‘인간 사회생물학’을 창안하였다. 그는 1978년 《인간 본성에 대하여On Human Nature》를 발표하여 첫 번째 퓰리처상을, 그리고 20년간 개미들의 사회생활을 연구한 《개미The Ants》를 발표하여 두 번째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그는 1998년 《통섭, 지식의 대통합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을 발표하여 세상을 또 한 번 놀라게 하였다. 진화생물학을 중심으로 인문학과 사회과학, 예술학 지식을 통합할 수 있..

브랜딩/원형의 브랜딩, RAW 2022. 2. 10. 11:45

최상의 가치를 찾아 구매한다. 소비자의 ‘보물찾기’

소비자 반란을 예견한, 마이클 J. 실버스타인과의 인터뷰 The Interview with 마이클 J. 실버스타인(Michael J. Silverstein) 할인마트의 주차장에 가면 중형 이상의 고급 승용차들이 꽤 눈에 띄고, 지하철 이용객 중에도 명품 가방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현재 소비자들은 기능과 감성을 모두 만족시킬 만한 보물 찾기에 나서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트레이딩 업 트레이딩 다운», «소비자의 반란»의 저자, 마이클 J. 실버스타인(Michael J. Silverstein)은 이러한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의 이해를 강력히 주장한다. 본 인터뷰는 소비자 및 소매 부문의 글로벌 리더이자 회사의 집행 위원회 위원이자 전 세계 고객 서비스 책임자였으며 Boston Cons..

브랜딩/브랜드 묵시록, 런칭 2022. 2. 9. 17:38

시장조사의 기술, 모든 마케팅의 출발점이자 성패를 좌우하는 열쇠

《시장조사의 기술 Researchwatching》의 저자, 자일스 루리(Giles Lury)와의 인터뷰 The Interview with 자일스 루리(Giles Lury) 영국의 브랜드컨설팅회사인 밸류엔지니어(THE VALUE ENGINEERS)의 대표인 자일스 루리(Giles Lury)는 세계적인 광고회사인 DDB와 JWT, 리서치회사 HPI리서치그룹, CI 컨설팅사인 스프링포인트SPRINGPOINT에서 20여 년 동안 근무하며 광고, 리서치, 브랜드 등 마케팅 전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가로 활약했다. 그는 생활용품에서 정보통신까지 다양한 분야의 광고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왔다. 이러한 눈부신 활약을 통해 그는 광고회사 재직 당시에는 IPA 광고효과상을 두 번이나 수상하였으며, 영국 내 리서치 분야 ..

브랜딩/브랜드 묵시록, 런칭 2022. 2. 9. 15:03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런칭에너지', 기업가 정신을 말하다.

기업과 브랜드의 혁신적 ‘런칭과 성숙’ 에너지원, 안트러프러너십 (Entrepreneurship), 인트러프러너십 (Intrapreneurship) The interview with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 남기문 대표이사 안트러프러너십과 인트러프러니십을 가진 사람들은 어디서 만나볼 수 있을까. 이런 사람들을 가장 많이 만난본 사람은 신규 비즈니스를 준비하는 사람들을 심사하여 그들에게 자본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전문 투자자’ 들일 것이다. 한 해 100~200여 명의 예비 창업자를 만나 기업에 투자하고 있는 그들의 혜안을 통해 기업가 정신의 핵심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런칭을 위한 완전한 영혼 Entrepreneurship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브랜딩/브랜드 묵시록, 런칭 2022. 2. 9. 12:05

미셸 슈발리에 인터뷰, 럭셔리 브랜드를 정의하다.

럭셔리 MBA를 강의하는 《럭셔리 브랜드 경영》의 저자, 미셸 슈발리에(Michel Chevalier) 인터뷰 The Interveiw with 미셸 슈발리에(Michel Chevalier) 럭셔리 브랜드는 소수를 위한 특권이 아닌, 점점 더 많은 사람을 위한 것이 되고 있습니다. 비록 대중을 위한 럭셔리 브랜드일지라도 여전히 개개인에게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마케팅 및 리테일링 경영학 박사를 취득한 미셸 슈발리에 박사는 현재 EIM의 파트너이며 파리 도핀 대학교 및 기타 경영대학원에서 럭셔리 MBA 코스를 강의하고 있다. 《럭셔리 브랜드 경영》은 브랜드와 미학 경영에 대해서 강연을 하고 있는 제럴드 마짤로보(Gerald Mazzalovo)와 공저하였다. 미셸 슈발리에는 ..

브랜딩/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2022. 2. 8. 18:11

로버트 F. 하틀리, 너무 착해서 강력해진 브랜드

경영학의 대가《윤리 경영》의 저자, 로버트 F. 하틀리(Robert F. Hartley)인터뷰 The interview with 로버트 F. 하틀리(Robert F. Hartley) ‘경영학의 대가’로 불리는 로버트 F. 하틀리(Robert F. Hartley)는 클리블랜드 주립대학교(Cleveland State University)의 명예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20년 이상 스테디셀러의 자리를 지켜온《Business is…War_숨 막히는 기업 경영 이야기(Management Mistakes)》를 비롯 《Marketing is…WAR_피 말리는 마케팅 전쟁 이야기(Marketing Mistakes)》《윤리 경영(Business Ethics : Mistakes and Successes)..

브랜딩/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2022. 2. 7. 23:50

낸시 리, CSR·ESG전략가에게 묻는 기업 DNA를 추적하다

The interview with 낸시 리(Nanvy Lee) CSR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 낸시 리(Nanvy Lee)는 일리노이 대학에서 교육공학을 전공하고, 퓨젯사운드 대회에서 마케팅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25년 동안 사회 마케팅과 공공분야 마케팅에서 최고의 전문가로 활동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쌓았다. 현재 소셜 마케팅의 사장으로 재임하고 있으며, 다수의 정부기관 및 민간단체의 마케팅 전략을 총괄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전미 마케팅협회의 일원으로, 민간단체의 대변인으로, 웨싱턴 대학과 시애틀 대학의 겸임교수로 왕성하게 활동 중이다. 마케팅의 대부 필립 코틀러와 함께 총 10권의 책을 집필하였으며, 그 중 2권을 그 중 『필립코틀러의 CSR 마케팅』, 『필립코틀러의 퍼블릭 마케팅』이라는 ..

브랜딩/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2022. 2. 7. 19:06

데이브 볼터, 고객이 최고의 마케터다

세스 고딘이 추천하고, 톰 피터슨이 일독을 권한 『고객이 최고의 마케터다』의 저자, 데이브 볼터(Dave Balter) 인터뷰 The interview with 데이브 볼터(Dave Balter)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10년 이상의 마케팅 경력을 가지고 있는 데이브 볼터(Dave Balter)는 《Grapevine(고객이 최고의 마케터다)》의 저자로 입소문 BzzAgent의 설립자이자 CEO이다. 또한 Word-of-Mouth Marketing Association(WOMMA)의 설립 멤버이자, 윤리 위원회(Ethics council)의 공동 위원장으로서 최초로 입소문 윤리코드(Word-of-Mouth Ethics Code)를 발전시키는데도 기여했다. 이러한 경력과 무관하지 않게 책과 인터뷰에서도 일관되게..

브랜딩/브랜드 팬덤 매니아, 뱀파이어, 오라클 2022. 2. 7. 12:28

슈퍼내추럴 코드의 생성법, 그것은 바로 고객이다.

브랜드를 통해 그 가치를 중심으로 하나가 되어 일종의 문화와 운동을 일으키는 '슈퍼내추럴 코드'의 생성법은 정답부터 이야기하자면, 바로 고객이다. 단순한 고객이 아니라 아주 특별한 고객을 통해서 슈퍼내추럴 코드가 생성된다. 이들이 온브랜딩에 있어서 브랜드의 원형(Archetype)을 결정하는 사람들이다. 바로 고객이다. 단순한 고객이 아니라 아주 특별한 고객을 통해서 슈퍼내추럴 코드가 생성된다. 그렇다면 브랜드를 만드는 사람이라면 소비자로 하여금 슈퍼내추럴 코드를 갖도록 하기 위해 브랜드를 어떻게 만들어야 하며, 또 무엇을 해야 할까? 여기까지 읽었다면 지금쯤 슈퍼내추럴 코드를 만드는 여섯 가지 방법 정도를 기대할 것이다. 물론 유니타스브랜드 Vol.12에 몇 가지 특이한 현상을 분류해 놓았다. 그러나 ..

브랜딩/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2022. 1. 27. 16:16

애플 매니아의 개인적 고백 - 또 애플? 지겹지 않은가?

사실 지겹다. 아마 유니타스브랜드 독자라면 애플이 지나치게 많이 나온다는 것을 알 것이다. 편집팀 내부에서도 더 이상 애플을 다루지 말자는 분위기가 조성될 정도다. ‘디자인 경영’에서도 심도 있게 다루었던 브랜드임에도 불구하고 다시 ‘슈퍼내추럴 코드’에서 다룬 것은 특이점을 가진 브랜드기 때문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마니아 계층을 확보하고 있으며, 낮은 시장 점유율(애플 컴퓨터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경우는 4%도 안 된다)로 시장을 리딩 하면서 브랜드의 새로운 기준과 브랜딩의 수준을 보여주는 브랜드다. 의도하지 않았지만 애플은 유니타스브랜드가 인터뷰한 대부분의 해외 석학들의 입에서 항상 거론된 브랜드라는 것을 알 것이다. 왜 또 애플인가? 애플의 제품들은 종종 ‘마법’과 같고, 그 자체가 ‘기쁨’ ..

브랜딩/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2022. 1. 26. 16:05

소비자가 브랜드의 감성(感性), 문화를 만드는 슈퍼내추럴 코드

우리가 찾고 규정하는 슈퍼내추럴 코드는 브랜드를 통해 그 가치를 중심으로 하나가 되어 일종의 문화와 운동을 일으키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다. 소비자가 기업의 브랜딩에 화답하여 브랜드에 ‘문화’를 만들어 주는 것, 문화는 조작되는 것이 아니라 삶을 나누는 것이다. 사용자들의 감정이 이입되면서 ‘슈퍼내추럴 현상’은 개별적 감정이 공유된 감정이 되면서 독특한 문화가 되고, 그 문화는 그 집단이 공유하는 암호로 코딩된다. 브랜드의 문화는 브랜드를 누리는 것으로서 브랜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몫이고 유산이다. 경영의 철학자로 불리는 게리 해멀은《꿀벌과 게릴라》에서 말했다. “혁신의 설계 규칙 중 하나는 비즈니스가 ‘비즈니스가 아닌 이유’를 만드는 것이다. 노련한 혁명 기업은 그들이 가진 강점의 많은 부분이 성장, ..

브랜딩/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2022. 1. 20. 22:38

영혼이 있는 기업, 영성이 있는 브랜드, 공유하는 소비자

브랜드에 대한 초자연적인 애착, 집착, 중독의 모습을 보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소비자들, 이들을 ‘마니아’라는 이름 안에 가두어 두기에는 너무나 ‘슈퍼내추럴’하다. 이들은 브랜드를 자신의 생활 혹은 신체의 일부라고 믿고, 브랜드에게 친구 같은 우정을 느끼는가 하면, 상품을 수집품처럼 모아서 박물관을 만들겠다는 꿈을 꾸고 있다. 또한 같은 브랜드를 쓰면 동질감을 느끼며, 브랜드가 자신의 상처를 치유한다고 믿고, 브랜드를 통해서 인생의 성장을 체험했다고 말한다. 무엇보다 브랜드를 또 다른 자신이라고 믿는 현상이 보여진다. 곧 슈퍼내추럴 브랜딩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이 도대체 왜, 그 브랜드에 슈퍼내추럴 코드를 코딩하고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브랜드가 슈퍼내추럴 코드를 갖기 위해서는 인간의 ..

브랜딩/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2022. 1. 20. 16:40

Ontology, 브랜드에서 아이덴티티로

인터넷은 제한적인 시간과 공간 안에서 운명에 지배 당해 왔던 ‘관계’를 재미, 이익, 정보, 관심, 참여, 개방 그리고 공유라는 이름으로 재정의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딜레이션십(dilationship), 즉 ‘디지털 릴레이션십’이다. 초창기의 인터넷은 정보의 교환이 주요한 기능이었기에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인터넷이 발달하고 본격적으로 온라인에서 비즈니스가 이루어지면서 이야기는 달라졌다. 브랜드의 본질인 ‘관계’에 대한 당연한 이야기를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좀 더 깊숙히 이야기해본다. Ontology, 브랜드에서 아이덴티티로 ‘잇 걸(it girl)’이라는 말이 있다. IT 업계에 있는 ‘젊은 여인’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젊고 섹시한 여자’라는 뜻이다. 1927년 엘리너 글린이 쓴 《I..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1. 19. 11:34

온브랜딩의 중심, ‘관계’는 무엇인가?

인터넷은 제한적인 시간과 공간 안에서 운명에 지배 당해 왔던 ‘관계’를 재미, 이익, 정보, 관심, 참여, 개방 그리고 공유라는 이름으로 재정의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딜레이션십(dilationship), 즉 ‘디지털 릴레이션십’이다. 초창기의 인터넷은 정보의 교환이 주요한 기능이었기에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인터넷이 발달하고 본격적으로 온라인에서 비즈니스가 이루어지면서 이야기는 달라졌다. 브랜드의 본질인 ‘관계’에 대한 당연한 이야기를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좀 더 깊숙히 이야기해본다. Relationship, 생명과학 그리고 관계 relationship은 사람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또한 relationship은 생물학에서 ‘유연 관계’라는 학술 용어로 쓰이는데, 이는 생물 분류군의..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1. 19. 11:32

온라인이 만드는 관계의 ‘디지털 릴레이션십’

인터넷은 제한적인 시간과 공간 안에서 운명에 지배 당해 왔던 ‘관계’를 재미, 이익, 정보, 관심, 참여, 개방 그리고 공유라는 이름으로 재정의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딜레이션십(dilationship), 즉 ‘디지털 릴레이션십’이다. 초창기의 인터넷은 정보의 교환이 주요한 기능이었기에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인터넷이 발달하고 본격적으로 온라인에서 비즈니스가 이루어지면서 이야기는 달라졌다. 브랜드의 본질인 ‘관계’에 대한 당연한 이야기를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좀 더 깊숙히 이야기해본다. 관계의 Dilationship 온라인 족보 한 포털 회사에 이런 제안을 한 적이 있다. “저는 생물학적으로는 죽어도 온라인에서 영원히 살고 싶습니다. 그러니까 제 말은 제가 죽은 다음에도 저의 딸과 아들과 ..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1. 14. 14:04

런칭에 있어 소비자조사, 질문에 답이 있다

스티브 잡스는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 소비자 조사를 통해서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말에 대해서 50%는 공감한다. 실제로 성공한 브랜드는 소비자 조사를 통한 것보다는 창업자의 통찰력과 직관의 산물이 많다. 런칭 초기에는 스티브 잡스의 논리에 어느 정도 수긍하지만, 일단 제품과 브랜드가 출시되면 어떤 형태로든 ‘조사’를 통하여 소비자의 반응과 방향을 확인해야 한다. 50% 공감하지 않는 것은 제품마다, 브랜드마다 특수한 환경이 있다는 것이다. 페라리를 소유한 사람들에게 소비자 불만 설문 조사를 한다면 제대로 된 답이 나올 수 있을까? 아마 전화하기도 힘들 것이다. 하지만 가격과 일상품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이 문제인지 바로 파악할 수 있다. 브랜드 ..

브랜딩/브랜드 묵시록, 런칭 2022. 1. 13. 16:30

브랜드 런칭, 흥망성쇠의 비례점

묵시록이란 '묵시한 내용을 적은 글'이다. 원어인 코이네 그리스어 '아포칼륍시스(ἀποκάλυψις)'는 '드러냄, 계시, 벗김.'의 뜻을 가진 명사로, '드러내다, 나타내다, 폭로하다. 라는 뜻이다. 언뜻 화려한 브랜드 런칭안에는 꼭 인지해야 하는 조직의 정치와 그 이후의 미래 그리고 흥망성쇠과정의 비례점의 중요성에 대해 그 숨겨진 꼭 알아야 할 것들을 이야기해본다. 런칭의 정치학 부서와 다른 부서, 라인과 스텝, 기획과 영업, 디자인과 생산, 본부장과 전략실장, 팀장과 실무 팀원 간의 헤게모니(주도권) 싸움은 한 발만 물러서서 보면 모두 볼 수 있다. 과장된 이야기지만, 일만 열심히 하면 대부분의 브랜드는 런칭에 성공할 수 있다는 말도 있을 정도로 런칭과 동시에 내부에서 일어나는 것은 헤게모니 싸움이..

브랜딩/브랜드 묵시록, 런칭 2022. 1. 13. 13:07

브랜드 묵시록, 런칭이 브랜딩이다

불길하게 예견했던 시장 악화의 징조가 보이고, 급작스러운 트렌드의 변화, 선도 브랜드들의 견제, 같은 시장에 같은 컨셉으로 진입하는 신규 브랜드들의 무분별한 가격 할인 전략, 그리고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내부 조직의 갈등과 와해 등, 이 모든 것은 신규 런칭을 준비하면서 터지는 시한폭탄들이다. 따라서 런칭을 준비하면서 대박을 꿈꾸기보다는 반드시 찾아올 재앙의 현실을 준비해야 한다. 다시 말해 런칭의 내성을 길러야 한다. 런칭을 할 때는 상품의 소멸성이라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유통기한이 있는 상품은 환경 변화에 따라 자신도 변화할 수 있어야 한다. - 앨 리버만 기업가정신을 갖고 있는 기업가는 안정되고 편안한 경영자가 되려는 유혹에서 벗어나 스스로를 항상 위험이 따르는 혁신적 상황으로 몰아넣곤 한다. -..

브랜딩/브랜드 묵시록, 런칭 2022. 1. 11. 21:12

컨셉 능력을 어떻게 ‘학습’할 수 있을까?

컨셉과 컨셉 구축은 아이디어를 많이 생각해서는 얻을 수 없고, 모방해서 가질 수 없는 (경험으로만 쌓는) 비밀스러운 지혜다. 그래서 컨셉을 구축하는(컨셉추얼라이제이션) 지능에 대해 우리는 뭐라고 딱히 말할 수 없어서 인사이트, 느낌, 영감, 직관력 혹은 통찰력이라는 단어로 대신한다. 컨셉을 만드는 전문가(컨셉추얼라이저)들이 말하는 컨셉 능력을 어떻게 ‘학습’할 수 있을까? 필자가 브랜드 컨설팅을 하면서 컨셉 능력의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는 직관을 배양(?)하기 위해 지극히 개인적으로 터득한 방법이 있다. 우리가 ‘거시기’에 대해 잘 알기 위해서는 ‘거시기’라는 말을 많이 사용해 봐야 하는 것처럼, 컨셉도 현장에서 배워야 한다. 그중 하나가 길거리에서 배우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인식은 눈에서 ..

브랜딩/브랜드의 영혼, 컨셉 2022. 1. 11. 15:07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다음
Copyright©The Unitas All Rights Reserved
푸터 로고 Sustainable Ecosystem
페이스북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