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유니타스라이프
  • #️⃣️ 태그로 보는 브랜드 주제
  • 해외인터뷰
  • 분류 전체보기
    • about
      • 편집장의 글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런칭 시뮬레이션
      • 브랜드 서신 VOL 26
    • 브랜딩
      • 브랜드, 브랜딩이란?
      • 브랜드 B자 배우기
      • 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 브랜드와 트렌드
      • 작지만 강한, 스마트하게 브랜딩
      • 원형의 브랜딩, RAW
      • 브랜딩의 연금술, 판타지
      • 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 전략의 시각화, 디자인 경영
      • 브랜드 경험
      • 브랜드 철학의 전략화
      • 브랜드의 영혼, 컨셉
      • 브랜드 묵시록, 런칭
      • 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 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 브랜드 팬덤 매니아, 뱀파이어, 오라클
      • 불황에서 브랜딩, 불황으로 브랜딩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브랜드인사이트
      • 브랜드직관력
      • 브랜드임계명언
    • 소셜 브랜드 SOCIAL BRAND
      • 사회적 브랜드
    • 에코시스템브랜드
    •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 자기다움
    • 휴먼브랜드
    • 창업
      • 브랜드창업
      • 창업 입문
    • 프로젝트 다큐
    • 리더십바이러스
    • 유니타스라이프
    • 시장조사와 여행
    • 나듦의 계절, 인디언 섬머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ESG브랜딩

  • 에코시스템 브랜드란 무엇인가?

    2022.07.11 by Content director

  • 인문학적인, 그래서 인간적인 브랜드

    2022.07.01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 정글 자본주의를 넘어 공존의 세계로

    2022.06.30 by Content director

  • 이타적 유전자, 공감의 브랜드

    2022.06.30 by Content director

  • 소설 속에 브랜드, 소설 쓰는 브랜드

    2022.06.20 by Content director

  • 먼저 본인의 비전(뜻)으로 새로운 가치(업)를 만들자, 창의업(創意業)

    2022.04.21 by Content director

  • 인간과 브랜드, 브랜드 인문학

    2022.04.19 by Content director

  • 코카콜라, 애플, BMW를 넘어설 소비자가 이웃이 되는 미래의 브랜드

    2022.04.08 by Content director

  • 자기다운 브랜드 전략 그리고, 비즈니스·브랜드 모델

    2022.03.22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의 기원(Origin)과 시작(Begin) 01 - 세상은 브랜드로 이루어졌다.

    2022.03.16 by Content director

  •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리더십, 영속가능경영을 위한 브랜드십

    2022.03.07 by Content director

  • 로버트 F. 하틀리, 너무 착해서 강력해진 브랜드

    2022.02.07 by Content director

  • 낸시 리, CSR·ESG전략가에게 묻는 기업 DNA를 추적하다

    2022.02.07 by Content director

  • 럭셔리, 섹시, 사회적 - 브랜딩의 시작은 어디인가?

    2021.12.31 by Content director

  • 성(性)과 성(聖), 브랜딩의 끝은 어디인가?

    2021.12.29 by Content director

  • 린 업쇼, 작은 기업의 전략, 정직이 곧 전략이다

    2021.11.25 by Content director

  • 배려와 연민, 의미와 목적의 깨어있는 브랜드 전략

    2021.11.01 by Content director

에코시스템 브랜드란 무엇인가?

에코시스템 브랜드는 성공한 브랜드이기 이전에 좋은 브랜드이며, 경제적 이익보다 먼저 유익의 가치를 선택한 브랜드이다. 에코시스템은 각 섹션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첫째, 인간과 자연의 접점을 찾고 둘째, 자연을 회복하기 위한 브랜드의 역할과 셋째, 브랜드와 사회의 상호작용에 집중했다. Ecosystem Brand는 생태계의 원리를 따르는 브랜드이다. 인간 중심적 사고를 지양하며, 인간과 자연을 분리하지 않는다. 오히려 자연 속에 포함된 인간의 실체를 깨닫고, 그 둘 간의 깨어진 관계 회복을 돕는데 초점을 둔다. 공존과 균형을 키워드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유기적 관계 속 브랜드 역할을 고민한다. 에코시스템 브랜드는 성공한 브랜드이기 이전에 좋은 브랜드이며, 경제적 이익보다 먼저 유익의 가치를 선택한 브랜..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11. 13:33

인문학적인, 그래서 인간적인 브랜드

이 지구에는 단세포 동물부터 인간까지 셀 수 없는 생명체가 존재한다. 시장에서도 사람의 욕구와 욕망을 채우기 위해서 1만 원짜리 비닐 핸드백부터 1,000만 원짜리 소가죽 핸드백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물건을 담는 가방의 용도가 필요에서 욕망으로, 그리고 가치로 진화되고 있는 중이다. 자본주의를 말하는 이때가 과연 인문학적 가치를 지닌 브랜드, 곧 선한 이웃과 같은 브랜드가 나올 때인지는 모르겠지만 분명 소비자는 그런 브랜드를 지금 당장 원하고 있다. 구매 기준이 가치에 의한 신뢰라면, 그 신뢰로 제대로 된 상품을 만들 수 있다면, 그 상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사회적 가치가 실현될 수 있다면, 사회적 가치의 실현으로 인간이 인간답게 된다면 그야말로 인문학적 가치로 브랜드를 만드는 것이고 이로써 사회를 변화..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7. 1. 11:23

브랜드, 정글 자본주의를 넘어 공존의 세계로

The interview with 덕성여자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이원복 ‘역사가였던가?’ 이것은 출판된 지 24년 동안 1,500만 부 이상이 팔린 전 국민의 베스트셀러이자 역사교과서라고까지 불리는 《먼나라 이웃나라》의 저자 이원복 교수에 대한 ‘여전한’ 궁금증이다. 책을 펼치면 베레모를 쓰고 괴나리 봇짐을 멘 이원복 교수의 분신인 작가 캐릭터가 등장해 역사와 문화, 때로는 철학과 인문, 경제와 사회를 넘나드는 이야기를 풀어낸다. 이런 그가 현재 대학에서는 사학과가 아닌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친다. 그런데 그가 누구인지에 대한 ‘여전한’ 궁금증은 의외로 쉽게 풀렸다. “인문학이 뭔가요? 그게 바로 잡학이에요. 이 시대는 잡학에 능해야 해요. 그래서 인문적 교양을 쌓기 위해서는 폭넓은 지식..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6. 30. 19:16

이타적 유전자, 공감의 브랜드

The interview with 인제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소장 강신익 소위 잘 나가던 의사에서 어느 날 모든 것을 내려놓고 의학철학, 다시 말해 인문학을 공부하러 유학을 떠났다. 한국으로 돌아왔을 때 그는 의사가 아닌 ‘인문학자’가 되어 있었다. 인제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강신익 소장은 이러한 자신의 선택을 ‘절대’ 후회하지 않는다고 거듭 말한다. 오히려 그는 ‘제대로 된 삶’을 살게 되었다고 말한다. “인문학은 그 자체로 목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인문학을 도구로 알고 있죠. 그래서 인문학을 제대로 못 만나는 겁니다.” 그의 얘기를 조금 더 들어 보자. “인문학은 ‘삶’과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하는 겁니다. 그런데 ‘인문학 열풍’이라고 하면서도 아직까지 인문학은 상아탑에 갇혀 삶과는..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6. 30. 14:32

소설 속에 브랜드, 소설 쓰는 브랜드

환경과 역경을 이겨 낸 소설 속의 브랜드가 되고 싶다면 경쟁상대를 의식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히 하면 된다. 브랜드 안에 궁극의 가치를 구축하려고 하면 소비자들도 기꺼이 당신 브랜드의 소설에 동조하고, 출연을 마다하지 않을 것이다. 매년 밸런타인데이마다 전 세계 연인들은 사랑을 고백하고 확인한다. 누가 약속도 하지 않았지만 이날이 되면 전 세계 연인들은 행복해진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밸런타인도 오기 전에 거의 명절 수준에 맞먹는 사랑을 고백하는 날이 또 있는데 바로 빼빼로데이다. 2011년 11월 11일은 유난히 심했다. 왜냐하면 롯데 빼빼로가 이 날을 숫자 1이 6개가 겹친다는 이유로 성일聖日(?)로 선포하고 ‘밀레니엄 빼빼로데이’라 명명하며 대대적인 광고를 했기 때문이다. 마..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6. 20. 19:02

먼저 본인의 비전(뜻)으로 새로운 가치(업)를 만들자, 창의업(創意業)

‘창의업(創意業)’은 ‘비롯할 창(創)’과 ‘뜻 의(意)’ ‘업 업(業)’으로 구성된 신조어다. 문자 그대로 먼저 뜻을 세우고 업을 만들어라, 혹은 본인의 비전(뜻)으로 새로운 가치(업)를 만들자라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광의적인 해석이지만 분명한 방향은 다음과 같다. ‘생계수단으로 업을 구하지 말고 자신의 뜻으로 새로운 업을 만들자’라는 것이다. 현존하는 직업을 통해 경쟁으로 생존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지 않는 가치로 새로운 업(브랜드 혹은 기업)을 만드는 정신이 바로 창의업이다. 문자 그대로 먼저 뜻을 세우고 업을 만들어라, 혹은 본인의 비전(뜻)으로 새로운 가치(업)를 만들자라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라는 말은 희소성의 법칙에서 출발한 경제의 기본 원칙이..

창업/브랜드창업 2022. 4. 21. 14:24

인간과 브랜드, 브랜드 인문학

마케팅은 인간이 무엇을 원하는가에서 시작된 학문이라면 브랜드 인문학은 ‘인간이 어떤 것을 원해야만 되는가?’ ‘인간이 어떻게 인간다워야 하는가?’에 관한 브랜드의 대답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질문에 대답한 인문학의 가치로 브랜드를 만든 것이 인문학적 브랜드이다.    브랜드도 인간에 의해서 그리고 인간을 위해서 만들어졌다.  브랜드의 창조는 인간이 인간을 위해창조 한 것이다.  인간과 브랜드의 관계를 알기 위해서 브랜드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명품 브랜드의 기원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자.  명품 브랜드의 시작은 장인들이 왕과 귀족에게 특별하게 보이는 상품을 제공하면서 시작되었다. 장인들은 왕과 귀족을 위한 여행가방, 쥬얼리, 향수, 옷, 마차를 만들었다. 산업혁명 이후 이런 왕과 귀족 계급이 무너..

브랜딩/브랜드 B자 배우기 2022. 4. 19. 11:25

코카콜라, 애플, BMW를 넘어설 소비자가 이웃이 되는 미래의 브랜드

현재 기술은 발전해가고 있고 시장과 세상은 완전히 변하고 있는 중이다. 브랜드는 ‘소유’에서 ‘특정 계층 소비’로 넘어갔고 브랜드가 거래가 아니라 관계의 중심축이 되고 있다. 미래의 브랜드는 소비자를 이웃으로 그리고 타인을 목적으로 대한다면 지금의 시장은 어떻게 바뀔까? 브랜드가 의미와 가치를 다룬다면? 자신의 욕구와 필요를 채우기 위한 소비가 아니라 더 나은 세상을 바꾸기 위한 소비를 하기 시작한다면 시장의 본질과 형태가 바뀌는 것도 시간 싸움일 뿐이다. 어쩌면 현재가 그런 때인지도 모른다.   브랜드가 거래가 아니라 관계의 중심축이 되어서, 소비자를 이웃으로 그리고 타인을 목적으로 대한다면 지금의 시장은 어떻게 바뀔까?   브랜드는 거래가 아닌 관계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극사실주의 화가들의 그림을..

브랜딩/브랜드 B자 배우기 2022. 4. 8. 14:32

자기다운 브랜드 전략 그리고, 비즈니스·브랜드 모델

사람에게는 근육과 같은 브랜드 전략과 브랜드가 지속가능하게 하는 심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비즈니스 · 브랜드 모델. 먼저 전략을 짜기 위한 시작은 '누구와 경쟁할 것인가'에서 시작한다. 경쟁자와 싸우는 전략이지만 자기 자신도 변화될 수밖에 없는 전략(경쟁자는 항상 또 바뀌기 때문에)은 ‘전략’ 대신 ‘혁신’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경쟁자가 돈으로도 따라 할 수 없는 전략은 무엇인지, 생명력 있는 기업이 되기 위한 영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과 더 나아가 브랜드 모델은 무엇인지 이야기한다. 브랜드 근육, 전략 마케팅 전략 중에서 포지셔닝은 ‘아마도’ 어떤 시장에서는 여전히 유효하고, 앞으로도 강력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립 코틀러는 자신의 저서《마켓 3.0》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

브랜딩/브랜드 B자 배우기 2022. 3. 22. 12:04

브랜드의 기원(Origin)과 시작(Begin) 01 - 세상은 브랜드로 이루어졌다.

브랜드들의 기원(Origin)과 시작(Begin)을 보면서 우리는 지금 시장에 있는 브랜드를 ‘상호작용’의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브랜드는 생산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마케팅에서 경쟁, 모방, 대립이라 불리는 것들은 시장 생태계 관점에서 보면 상호작용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상호과정을 통해 문화,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새로운 가치들이 만들어진다. 물론 그 중심에는 브랜드가 있다. 세상은 브랜드로 이루어졌다 “안녕하세요, 제가 초등학교 때부터 대학교까지 준비한 브랜드를 귀사에 소개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저는 귀사의 브랜드에 대해서 중학교 때부터 공부하면서 다음의 대안을 준비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저는 중국 진출을 하기 위한 브랜드 ..

브랜딩/브랜드 B자 배우기 2022. 3. 16. 10:57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리더십, 영속가능경영을 위한 브랜드십

지속가능경영이란 기업이 전통적으로 추구하는 이익뿐만 아니라 환경이나 윤리와 같은 사회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기업가치를 지속적으로 향상 및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개념은 사회적인 요구에 의해 출현했지만, 법인으로서 기업이 어떻게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을까에 관한 자구책이기도 하다. 지속가능경영은 말 그대로 현재 기업 활동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에 관한 방법론적 접근이자 경영 혁신의 대안이라고 볼 수 있다. 기업은 스스로 존속(存續, Sustainability)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강력한 생명력을 가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지속’을 넘어 ‘영속’ 하기 위해서는 브랜드를 움직이는 진정한 힘, ‘브랜드십’을 이해해야 한다. 기업을 영속시키는 시스템, 브랜드 모든 기업이 지속가..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2022. 3. 7. 15:21

로버트 F. 하틀리, 너무 착해서 강력해진 브랜드

경영학의 대가《윤리 경영》의 저자, 로버트 F. 하틀리(Robert F. Hartley)인터뷰 The interview with 로버트 F. 하틀리(Robert F. Hartley) ‘경영학의 대가’로 불리는 로버트 F. 하틀리(Robert F. Hartley)는 클리블랜드 주립대학교(Cleveland State University)의 명예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20년 이상 스테디셀러의 자리를 지켜온《Business is…War_숨 막히는 기업 경영 이야기(Management Mistakes)》를 비롯 《Marketing is…WAR_피 말리는 마케팅 전쟁 이야기(Marketing Mistakes)》《윤리 경영(Business Ethics : Mistakes and Successes)..

브랜딩/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2022. 2. 7. 23:50

낸시 리, CSR·ESG전략가에게 묻는 기업 DNA를 추적하다

The interview with 낸시 리(Nanvy Lee) CSR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 낸시 리(Nanvy Lee)는 일리노이 대학에서 교육공학을 전공하고, 퓨젯사운드 대회에서 마케팅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25년 동안 사회 마케팅과 공공분야 마케팅에서 최고의 전문가로 활동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쌓았다. 현재 소셜 마케팅의 사장으로 재임하고 있으며, 다수의 정부기관 및 민간단체의 마케팅 전략을 총괄 담당하고 있다. 그리고 전미 마케팅협회의 일원으로, 민간단체의 대변인으로, 웨싱턴 대학과 시애틀 대학의 겸임교수로 왕성하게 활동 중이다. 마케팅의 대부 필립 코틀러와 함께 총 10권의 책을 집필하였으며, 그 중 2권을 그 중 『필립코틀러의 CSR 마케팅』, 『필립코틀러의 퍼블릭 마케팅』이라는 ..

브랜딩/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2022. 2. 7. 19:06

럭셔리, 섹시, 사회적 - 브랜딩의 시작은 어디인가?

방향 1. 브랜드란 Commodity가 끝나는 데서 시작하는 Identity다 명품이 무엇인가에 관해서는 아마 루이비통의 회장 이브 카르셀이 가장 잘 정의했을 것이다. 그의 정의는 간단명료하다. “명품은 욕망입니다.” 한마디로 루이비통은 욕망이라는 것이다. 마케팅이 사람들의 욕구와 욕망을 찾아서 상품을 만드는 것이라면, 명품은 욕망의 원형이기 때문에 굳이 그런 수고를 할 필요가 없다. ‘브랜드는 마케팅을 필요 없게 만든다’는 이론을 루이비통이 실제로 보여 준 것이다. 코코 샤넬도 그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녀의 정의는 이렇다. “명품이란 필수품이 끝나는 데서 시작하는 필수품이다.” 결론적으로 이 두 사람의 정의를 재편집하면 ‘욕망의 끝단에 있는 것은 명품’이다. 1954년 앨프리드 히치콕의 영화 ..

브랜딩/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2021. 12. 31. 00:04

성(性)과 성(聖), 브랜딩의 끝은 어디인가?

브랜드는 생명력을 지닌 유기체다. 자신만의 DNA를 지닌 이 유기체는 환경(시장과 소비자)과 작용, 반작용 과정을 거쳐 끊임없이 진화하고 진보한다. 이번 주제는 이렇게 진화(혹은 진보)하고 있는 브랜드, 즉 고등브랜드에 대해 이야기한다. 각 브랜드별로 진화의 끝자락 모습은 서로 다르겠지만 이번 장에서 다룰 브랜드들은 자신의 DNA 구조를 성(性, SEX)과 성(聖, SAINT)으로 표현해 내고 있는 브랜드다. 그야말로 섹시한 브랜드와 홀리(holy)한 브랜드라고 할 수 있다. 윤리적으로 어떤 것이 더 좋고 더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단지 점차 인간을 닮아가는 브랜드의 끝단이 궁금했고, 그들의 행보를 찾아, 진화를 거듭하는 그들의 DNA 구조를 쫓아 연구했을 뿐이다. 브랜드로 성공한 경영자들은 자기 브랜드..

브랜딩/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2021. 12. 29. 17:08

린 업쇼, 작은 기업의 전략, 정직이 곧 전략이다

The interview with 린 업쇼(Lynn Upshaw) integrity만큼 우리를 망설이게 하는 단어가 또 있을까 싶다. 그간 유니타스브랜드의 인터뷰에 응해 준 많은 해외 석학들이 한결같이 강조한 단어가 우리말로 진실성, 정직, 고결함, 완전무결함 등으로 해석 가능한, integrity다. ‘고객을 대함에 있어 나는 진실한가?’ ‘당신의 브랜드가 제안하는 가치는 다른 어떤 브랜드보다 정직하게 커뮤니케이션되고 있는가?’ 이런 질문들 앞에서 우리는 고민에 빠진다. 그리고 발끈, 화가 날지도 모르겠다. ‘지금 먹고살기도 바쁜데 웬 고상한 척인가!’ 그런데《정직이 전략이다(Truth) : The New Rules for Marketing in a Skeptical World》라는 책을 통해 inte..

브랜딩/작지만 강한, 스마트하게 브랜딩 2021. 11. 25. 10:48

배려와 연민, 의미와 목적의 깨어있는 브랜드 전략

Conscious Capitalism, Conscious Business, Conscious Brand Strategy The interview with 라젠드라 시소디어(Rajendra S. Sisodia) 짐 콜린스 연구팀의《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톰 피터스 연구팀의《초우량 기업의 조건》과 같이 기업들의 지향점에 대한 연구는 여기저기서 계속되고 있다. 여기 벤틀리 대학의 시소디어 연구팀은 《위대한 기업을 넘어 사랑받는 기업》을 연구하고 있다. 이들은 스톡 홀더(stockholder, 주주)가 아니라, 스테이크홀더(stakeholder, 이해당사자)에 집중하라고 말한다. 사전에서는 ‘도박판에서 내깃돈을 맡아 보관하는 제3자’라고 설명되는 스테이크홀더들과 좋은 관계를 만드는 것이 사랑받는 ..

브랜딩/브랜드 철학의 전략화 2021. 11. 1. 16:47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Copyright©The Unitas All Rights Reserved
푸터 로고 Sustainable Ecosystem
페이스북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