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유니타스라이프
  • #️⃣️ 태그로 보는 브랜드 주제
  • 해외인터뷰
  • 분류 전체보기
    • about
      • 편집장의 글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런칭 시뮬레이션
      • 브랜드 서신 VOL 26
    • 브랜딩
      • 브랜드, 브랜딩이란?
      • 브랜드 B자 배우기
      • 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 브랜드와 트렌드
      • 작지만 강한, 스마트하게 브랜딩
      • 원형의 브랜딩, RAW
      • 브랜딩의 연금술, 판타지
      • 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 전략의 시각화, 디자인 경영
      • 브랜드 경험
      • 브랜드 철학의 전략화
      • 브랜드의 영혼, 컨셉
      • 브랜드 묵시록, 런칭
      • 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 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 브랜드 팬덤 매니아, 뱀파이어, 오라클
      • 불황에서 브랜딩, 불황으로 브랜딩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브랜드인사이트
      • 브랜드직관력
      • 브랜드임계명언
    • 소셜 브랜드 SOCIAL BRAND
      • 사회적 브랜드
    • 에코시스템브랜드
    •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 자기다움
    • 휴먼브랜드
    • 창업
      • 브랜드창업
      • 창업 입문
    • 프로젝트 다큐
    • 리더십바이러스
    • 유니타스라이프
    • 시장조사와 여행
    • 나듦의 계절, 인디언 섬머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자기다움

  • ‘거짓 자아’로 살지 않는 마음의 작동법을 배우다

    2021.10.22 by Content director

  • 인간이 브랜딩되는 핵심요소, 워킹 브랜드

    2021.10.22 by Content director

  • 우리는 브랜드가 되었는가? 먼저 사람이 되어라

    2021.10.22 by Content director

  • 휴먼브랜드 '세종'으로 보는 섬김의 리더십

    2021.10.22 by Content director

  • 노일훈 작가, 작품을 통해서 자신을 완성한다.

    2021.10.21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십을 만드는 진성리더십은 무엇인가?

    2021.10.19 by Content director

  • 휴먼브랜드의 트라우마가 카리스마가 된다.

    2021.10.19 by Content director

  • 휴먼브랜드가 되기 위한 전략 - 변장, 변신, 변화, 변태

    2021.10.19 by Content director

  • 조셉 그레니,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한 6가지 방법

    2021.10.19 by Content director

  • 크리스 말론,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휴먼브랜드 관계 구축법

    2021.10.18 by Content director

  • 칼 스피크 & 데이비드 맥낼리, 관계 속에서 휴먼브랜드 - 나 자신이 브랜드 되기

    2021.10.18 by Content director

  • ‘다중지능 이론’ 하워드 가드너가 말하는 나의 휴먼브랜드 지능은?

    2021.10.18 by Content director

  • [인터뷰] 브랜드는 기업의 존재 이유이다

    2021.10.15 by Content director

‘거짓 자아’로 살지 않는 마음의 작동법을 배우다

The interview with 에드워드 데시(Edward L. Deci) 브랜드가 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는 ‘시간’이다. 10년, 30년, 100년 브랜드가 역사를 강조하는 이유는 전통성과 정통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휴먼브랜드도 일관된 가치를 지향하는 ‘지속성’이 필요하다. 자신의 분야에 10년간 집중해야 진정한 프로가 된다는 ‘10년 법칙’도 같은 맥락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을까? 《마음의 작동법 Why We Do What We Do》의 저자인 에드워드 데시(Edward L. Deci)는 40여 년 간 인간 행동의 동기를 연구해온 사회심리학자다. 그는 기존의 행동주의 심리학(당근과 채찍이 사람의 행동을 결정한다)을 뒤집고, 인간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 ‘..

휴먼브랜드 2021. 10. 22. 12:30

인간이 브랜딩되는 핵심요소, 워킹 브랜드

The, 이름이 상징이 되다 우리는 자신의 이름 앞에 더(The)를 붙일 수 있을까? 알다시피 정관사 더(The)는 다른 것과 구별된, ‘유일무이’한 뜻을 담고 있다. 브랜드의 속성은 차별화로, 시장의 기준과 질서를 만든다. “내가 있는 곳은 곧 청결함입니다. 주변을 청결하게 만드는 것이 저의 소명이죠.” “나는 음악이죠. 노래를 부르는 동안 창조주의 섭리를 느낍니다.” “안전, 안전, 안전.... 저의 모든 기준은 안전입니다.” “저는 시청자를 즐겁게 해주는 사람입니다. 아픈 모습을 보여 드려서 죄송합니다.” 진정한 브랜드는 상징성을 지닌다. 사람도 브랜드가 되려면 최고의 브랜드 코드인 ‘연상 이미지 = 가치 = 상징’의 공식을 만들어야 한다. 위 글을 읽을 때 누군가 떠오르는가? 그렇다면 그 사람은 ..

휴먼브랜드 2021. 10. 22. 11:31

우리는 브랜드가 되었는가? 먼저 사람이 되어라

초등학생 때 다녔던 태권도장의 슬로건은 ‘먼저 사람이 되어라’였다. 나는 빨간띠를 딴 후로 사람들을 보기만 하면 모두 스파링 상대로 여기고 주먹을 함부로 휘두르곤 했다. 한 번은 옆 동네 태권도장 파란 띠 아이들과 길거리에서 실랑이가 붙었는데, 급기야 도장 대결로 번지더니 결국 빨간 띠 승급 이벤트로 패싸움을 하게 되었다. 이 일로 인해 사범님의 선도 아래 ‘정신통일’과 ‘사람이 되자’라는 기합과 함께 얼차려를 받은 기억이 있다. 이소룡과 성룡이 나오는 무술영화를 보면, 고수들이 제자들에게 무술을 가르치기 전 고생만 시킨다. ‘먼저 사람이 돼라’는 얘기다. 젊었을 때는 사람이 되라는 말에 대해서 ‘긍정’은 했지만 ‘공감’은 하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은 이 말이 무슨 말인지 절실히 깨닫게 되었다. 사람이 ..

휴먼브랜드 2021. 10. 22. 10:12

휴먼브랜드 '세종'으로 보는 섬김의 리더십

The interview with 박현모 여주대학교 교수(여주대 세종리더십연구소 소장) ‘나라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내 이를 딱하게 여기어 새로 28자를 만들었으니, 사람들로 하여금 쉬 익히어 날마다 쓰는데 편하게 할 뿐이다.’ 《세종실록》28년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성군으로 손꼽히는 세종은 그 이름만으로도 존재가치가 빛나는 대표적인 휴먼브랜드다. 세종 재위 기간인 32년(1418-1450)은 ‘문화 융성의 부흥기’로 한글 창제를 비롯해 해시계, 혼천의 등 눈부신 과학 기술 성과로 이어졌다. 어떻게 이 모든 것이 가능했을까? 세종 리더십을 연구해온 ‘세종 학자’ 박현모 교수는 “늘 백성과 함께 했던 ‘여민’의 마음은 휴먼브랜드 세종의 근간이 되었다”면서 세종의 진면목을 ..

휴먼브랜드 2021. 10. 22. 09:57

노일훈 작가, 작품을 통해서 자신을 완성한다.

The interview with 노일훈 작가 차도 지나기 어려운 서울 영등포 시장 근처의 좁은 골목길. 오래된 철공소와 철물점들 사이에서 작가의 작업실을 찾기란 쉽지 않았다. 세계의 유명 전시회에서 전시를 하고, 수집가들에게 인정받는 예술가인 노일훈 작가. 무엇이 그로 하여금 이곳에 를 설립하고, 작품에 몰입하게 만들었을까. “우선 재료도 구입하기 편하고, 생각한 걸 바로 구현하기가 좋습니다. 이 느낌조차도 저에게 영감이 되고 너무 좋은 곳입니다.” 그는 자연현상에 숨어 있는 법칙을 발견하고, 작품으로 표현해왔다. 매 순간 그는 단 하나의 작품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었다. 노일훈작가의 휴먼브랜드란? "자기완성" 휴먼브랜드는 스스로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통해 자신만의 길을 발견한다. 어려움 속에서도 그 ..

휴먼브랜드 2021. 10. 21. 12:37

브랜드십을 만드는 진성리더십은 무엇인가?

The interview with 윤정구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임정택 듀폰코리아 사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브랜드를 이렇게 정의했다. “나의 가치를 기업의 가치와 일치할 수 있는 사람만 있다면 그 기업의 생명은 보장된 것이다.” 유니타스브랜드는 이런 기업에는 리더십이 아닌 ‘브랜드십’이 있다고 말한다. 브랜드십은 리더가 자신의 리더십을 버리고 브랜드의 가치에 자신의 행동을 일치시킬 때, 모든 직원이 리더의 생각이 아니라 브랜드의 존재 이유와 방향에 맞춰 일하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리더가 브랜드십을 구축하려면 어떤 리더십을 갖추어야 할까? 브랜드십의 근원이 되는 리더십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우리는 그 해답을 《진성리더십》의 저자 윤정구 교수와 인터뷰를 통해 찾을 수 있었다. 윤정구 교수의..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2021. 10. 19. 15:25

휴먼브랜드의 트라우마가 카리스마가 된다.

The interview with 이무석, 채정호 휴먼브랜드는 모든 조건을 갖춘 휴먼브랜드와 휴먼브랜드를 모방하고 싶은 브랜드 맨으로 구분할 수 있다. 휴먼브랜드와 브랜드맨을 구분하는 가장 큰 기준은 사후에도 여전히 브랜드로 존재하면서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가다. 가장 대표적인 휴먼브랜드는 샤넬이다. 그녀는 죽은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시장을 이끌어가고 있다. 휴먼브랜드와 브랜드맨 일반적으로 명품이 되기 위해서는 *전통성, 정통성, 트렌드가 필요하다. 혁신을 외치는 시대정신은 시간이 지날수록 발전한다. 비록 가브리엘 샤넬은 고인이 되었지만, 그녀와 같은 성향을 가진 디자이너, 소비자 등 수많은 샤넬 추앙자들로 인해 최고의 브랜드로 계속 성장하고 있다. 휴먼브랜드는 정신 승계자들이 불어넣..

휴먼브랜드 2021. 10. 19. 14:05

휴먼브랜드가 되기 위한 전략 - 변장, 변신, 변화, 변태

The interview with 캐서린 카푸타 (Catherine Kaputa), 제리 윌슨 (Jerry S.Wilson) 휴먼브랜드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브랜드를 연구하고 브랜드 전문 용어에 자신을 대입시켜 그에 맞게 행동해야 한다. 자신의 몸을 조화로운 근육으로 조각하기 위해서는 여러 근육의 위치와 작동법을 알고 거기에 맞는 운동법을 선택해야 하듯이, 휴먼브랜드를 꿈꾸는 사람 역시 먼저 브랜드의 용어를 숙지한 후 자신의 행동이 어떻게 조각되는지 의식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써야 한다. 브랜드 근육 키우기 “티파니 목걸이가 어울리는 쇄골을 갖고 싶어요.” “구찌 정장이 잘 어울리는 어깨 라인과 팔뚝을 만들어 주세요.” “에르메스를 들고 다닐 때 지적으로 보이는 얼굴을 만들어 주세요.” 할리데이비슨..

휴먼브랜드 2021. 10. 19. 11:35

조셉 그레니,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한 6가지 방법

The interview with 조셉 그레니(Joseph Grenny) 많은 사람들이 사회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싶어하지만 그렇게 되기란 쉽지 않다. 영향력은 특별한 사람만이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일까? 《인플루엔서 Influencer》 저자인 조셉 그레니는〈포춘〉이 선정한 500대 주요 기업의 변화를 주도하는 연설자이자, 컨설턴트다.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주면서 조용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들을 ‘인플루엔서’로 명명한 그는 사람들이 영향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이유로, 용기와 열정의 부족이 아닌 방법의 문제임을 강조하며 6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조셉 그레니는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한 6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동기와 능력 측면, 즉 ‘그것이 가치있는 일인가?’ 그리고 ‘내가 할 수 있는가?’의..

휴먼브랜드 2021. 10. 19. 09:44

크리스 말론,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휴먼브랜드 관계 구축법

The interview with 크리스 말론(Chris Malone) 오래전, 사람들은 신뢰를 바탕으로 동네 이웃들과 물물교환을 했다. 이후 산업 문명의 발달로 우리는 이름 모를 ‘낯선 이’가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해야 했고, 기업은 ‘얼굴 없는 소비자’를 마케팅의 수단으로만 여겼다. 하지만, 인터넷과 SNS의 발달은 기업과 소비자 간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했다. 2015년에 출간된 《어떤 브랜드가 마음을 파고드는가 The Human Brand》의 저자 크리스 말론(Chris Malone)은 인본주의가 부흥했던 르네상스 시대에 빗대어, 전통적인 마케팅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산업 혁명 이전의 ‘인간적인’ 관계로 다시 회기 하려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관계 르네상스’라고 정의한다. 관계 르네상스 시대, ..

휴먼브랜드 2021. 10. 18. 15:10

칼 스피크 & 데이비드 맥낼리, 관계 속에서 휴먼브랜드 - 나 자신이 브랜드 되기

The interview with 칼 스피크, 데이비드 맥낼리 지금 우리에게 익숙한 브랜드 개념은 1927년 P&G에서 만든 경영 이론으로, 제품(기업)과 소비자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였다. 당시 브랜드는 소비자와 제품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관리 차원의 개념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은 차별화된 브랜드를 통해 소비자와의 관계를 구축해왔다. 《너 자신이 브랜드가 되라 Be Your Own Brand》의 저자인 칼 스피크(Karl D. Speak)와 데이비드 맥낼리(David McNally)는 휴먼브랜드를 ‘관계학(關係學)’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관계학’은 브랜드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를 생성하고 유지하는 데 유용한 틀이기 때문이다. Unitas BRAND 사람도 브랜드가 될 ..

휴먼브랜드 2021. 10. 18. 14:03

‘다중지능 이론’ 하워드 가드너가 말하는 나의 휴먼브랜드 지능은?

The interview with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하워드 가드너는 사람을 평가하는 절대적 기준이었던 IQ(지능지수) 테스트에 의문을 던지며, 인간의 지적 능력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온 세계적인 교육심리학자다. 그는 다중지능 이론(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의 창시자로, 다양한 관점으로 인간을 바라봐야 한다고 역설한다. 인간은 9가지 유형 (언어, 논리-수학, 공간, 신체-운동, 음악, 대인관계, 자기 이해, 자연주의, 실존)의 지능이 있으며, 다재다능하다. 인간의 무궁무진한 잠재력, 그 가능성의 씨앗을 탐구해온 하워드 가드너에게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하는 휴먼브랜드가 되기 위한 조언을 들었다. Unitas BRAND ‘인간도 브랜드가 될 수..

휴먼브랜드 2021. 10. 18. 11:27

[인터뷰] 브랜드는 기업의 존재 이유이다

The Interview with 피에터 스핀더(Pieter Spinder) 피에터 스핀더(Pieter Spinder)는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창의ㆍ직업학교인 ‘노매즈(Knowmads)’의 교장이며 비즈니스 개발, 창의 학습 및 교수법, 마케팅을 주제로 한 강의를 세계 곳곳에서 하고 있다. 노매즈 학교(Knowmads) - 지식(Knowledge)의 유목민(Nomad)을 키운다는 교육 이념으로 배움과 일을 분리시키지 않고 자유롭게 진로를 개척하도록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네델란드를 대표하는 창의ㆍ직업학교. 교과서도 없고 커리큘럼도 정해져 있지 않으며 학생들은 기업이 의뢰한 프로젝트를 통해 직접 ‘하면서 배운다(Learning by doing)’는 슬로건을 가지고 있다. 함께 인터뷰를 한 임고운, ..

브랜딩/브랜드 커뮤니케이션 2021. 10. 15. 18:39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 4 5 6 7
다음
Copyright©The Unitas All Rights Reserved
푸터 로고 Sustainable Ecosystem
페이스북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