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유니타스라이프
  • #️⃣️ 태그로 보는 브랜드 주제
  • 해외인터뷰
  • 분류 전체보기
    • about
      • 편집장의 글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런칭 시뮬레이션
      • 브랜드 서신 VOL 26
    • 브랜딩
      • 브랜드, 브랜딩이란?
      • 브랜드 B자 배우기
      • 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 브랜드와 트렌드
      • 작지만 강한, 스마트하게 브랜딩
      • 원형의 브랜딩, RAW
      • 브랜딩의 연금술, 판타지
      • 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 전략의 시각화, 디자인 경영
      • 브랜드 경험
      • 브랜드 철학의 전략화
      • 브랜드의 영혼, 컨셉
      • 브랜드 묵시록, 런칭
      • 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 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 브랜드 팬덤 매니아, 뱀파이어, 오라클
      • 불황에서 브랜딩, 불황으로 브랜딩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브랜드인사이트
      • 브랜드직관력
      • 브랜드임계명언
    • 소셜 브랜드 SOCIAL BRAND
      • 사회적 브랜드
    • 에코시스템브랜드
    •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 자기다움
    • 휴먼브랜드
    • 창업
      • 브랜드창업
      • 창업 입문
    • 프로젝트 다큐
    • 리더십바이러스
    • 유니타스라이프
    • 시장조사와 여행
    • 나듦의 계절, 인디언 섬머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온브랜딩

  • 최고의 브랜딩 파트너, Brandon을 만나다

    2023.01.26 by Content director

  • 신대륙 온라인의 원주민들

    2023.01.26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 소비자에서 브랜드 소유자가 되다. 온브랜딩

    2023.01.26 by Content director

  • 뇌와 브랜드의 관계학

    2022.06.21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가 항상 새로움을 보여주기 위한 전략, 익숙한 것을 낯설게 하기

    2022.04.19 by Content director

  • 소비자의 스토리가 브랜드 히스토리 그리고 온브랜딩

    2022.04.04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의 화장, 변장, 분장 혹은 성형 - 브랜드 리뉴얼

    2022.04.01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 벤치마크, 우성결합 혹은 열성결합

    2022.04.01 by Content director

  • 온브랜딩은 브랜드의 인간화다. Humannization ON

    2022.03.02 by Content director

  • ‘참여’에서 ‘몰입’으로, 디지털미디어와 브랜딩

    2022.02.28 by Content director

  • I²(Identity✕Integrity)✕ Technology = 온브랜딩

    2022.02.28 by Content director

  • 폴 길린, 브랜딩을 강화하는 소셜 미디어 전략, 인터렉션 온

    2022.02.28 by Content director

  • 피터 글루어, 비즈니스ON을 위한 쿨헌팅·쿨파밍 - 메가트렌드를 미리 발견하라.

    2022.02.28 by Content director

  • ‘What’이 아닌 ‘Who’에 집중하는 브랜드가 되라. 온브랜딩은 가장 ‘자신다움’이다

    2022.02.25 by Content director

  • 혁신의 시대 - 온브랜딩 혁신 공식 ‘N=1(소비자는 단 1명), R=G(자원은 세계)’

    2022.02.25 by Content director

  • 슈퍼내추럴 코드의 생성법, 그것은 바로 고객이다.

    2022.01.27 by Content director

  • Ontology, 브랜드에서 아이덴티티로

    2022.01.19 by Content director

  • 온브랜딩의 중심, ‘관계’는 무엇인가?

    2022.01.19 by Content director

  • 온라인이 만드는 관계의 ‘디지털 릴레이션십’

    2022.01.14 by Content director

최고의 브랜딩 파트너, Brandon을 만나다

1) 브랜드 소비자에서 브랜드 소유자가 되다. 온브랜딩2) 신대륙 온라인의 원주민들 3) 최고의 브랜딩 파트너, Brandon을 만나다 필자는 1999년에 푸마라는 브랜드의 리뉴얼을 수행하면서 그 전략에 관한 인사이트를 천리안에서 활동하는 한 힙합 동호회를 통해 얻었다. 당시 매출이 100억 원 미만이던 푸마가 다음 해 700억 원이 넘었고, 그다음 해에는 1,500억 원이 넘는 브랜드가 되었다. 그들이 알려 준 것은 ‘푸마는 스포츠가 아니라 힙합 아이콘 중의 하나’라는 것이다. 그리고 2005년 컨버스라는 신발 브랜드의 리뉴얼을 할 때는 Daum 카페에서 활동하는 Brandon들을 통해 마케팅 인사이트를 얻었다. 그들이 알려준 것은 ‘컨버스는 신발이 아니라 수집품’이라는 것이었다. 그들이 알려준 것은 ..

브랜딩/브랜드 B자 배우기 2023. 1. 26. 14:14

신대륙 온라인의 원주민들

1) 브랜드 소비자에서 브랜드 소유자가 되다. 온브랜딩2) 신대륙 온라인의 원주민들 3) 최고의 브랜딩 파트너, Brandon을 만나다 ‘첨단 기술이 라이프스타일을 바꾼다’ ‘인터넷 기술이 문명과 문화를 바꾼다’ ‘미래 사회의 진보를 위한 차세대 핵심 기술’과 같이 노스트라다무스식 예언 문구들을 여기저기서 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10년 전과 지금의 삶의 질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변화를 준 것을 꼼꼼히 찾아보면 별로 없는 것 같다. 옷장에 있는 10년 된 옷도 코디만 잘하면 그럭저럭 입을 수 있고, 10년 된 차지만 주행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그때나 지금이나 자장면의 맛은 변한 게 없으며, 매일 세워지는 빌딩도 영화 에 등장하는 모습은 아직 찾아볼 수 없다. 과연 첨단 기술은 어디로 흘러간 것일까? 생활의..

브랜딩/브랜드 B자 배우기 2023. 1. 26. 13:56

브랜드 소비자에서 브랜드 소유자가 되다. 온브랜딩

1) 브랜드 소비자에서 브랜드 소유자가 되다. 온브랜딩 2) 신대륙 온라인의 원주민들 3) 최고의 브랜딩 파트너, Brandon을 만나다 온브랜딩이란 Brandon(브랜든)들이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에서 자신이 소유하거나 (구매하지 않고) 연애하는, 브랜드의 ‘인지도’가 아닌 ‘충성도’를 높이는 브랜딩 작업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Brandon들은 기업의 고용과는 별개로, 자발적으로 자신이 정한 브랜드의 ‘성숙과 완성’을 ‘사명’ 으로 완수하는 사람들이다. 그렇다면 Brandon들의 온브랜딩 괴력은 얼마나 강력할까? 결론부터 말한다면 핵 폭탄급이다. 소비자들은 공허한 약속을 꿰뚫어보는 능력이 있다. - 피터 A. 글루어 불행히도 유저들이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전파하는 목소리는 기업의 통제 영역 밖의 일이..

브랜딩/브랜드 B자 배우기 2023. 1. 26. 13:54

뇌와 브랜드의 관계학

The interview with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정재승 정재승. 사실 그가 과학자라서 만나고 싶었다기보다는 ‘뇌’를 연구하는 과학자였기 때문에 만나고 싶었다는 것이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우리의 몸속 지도도 낱낱이 공개된 이 시대에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한 곳이 바로 뇌이기 때문이다.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하지만, 아인슈타인과 같은 천재 과학자도 단 15%밖에 사용하지 못했다는 낭설까지 돌 정도로, 뇌는 그만큼 인간의 모든 호기심을 곤두서게 만든다. 왜일까? 뇌의 작동법만 안다면 사람의 사고 구조, 행동 원인 등 보이지 않는 것들의 비밀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한꺼번에 모두 풀리기 때문이다. 여전히 뇌와 관련된 서적은 하루에도 몇 십 권씩 서점가를 두드리며, 살인자의 뇌는 이렇다느니..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6. 21. 18:54

브랜드가 항상 새로움을 보여주기 위한 전략, 익숙한 것을 낯설게 하기

브랜드는 과거의 것을 미래의 것으로 소개하거나, 평범한 것을 비범하게 보이게 하거나, 소수의 취향을 특별한 취향으로 소개하려고 한다. 이런 모습이 상술, 혁신, 마케팅 그리고 전략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은 새롭고(Some-thing New) 다르게 해서(Something Different) 특별함(Something Special)으로 보여 주려는 행위다. 익숙한 것을 낯설게 보이게 하려는 브랜드 행위인 것이다. 새롭고(Some-thing New) , 다르게 해서(Something Different) 특별함(Something Special),  익숙한 것을 낯설게 보이게 하려는 브랜드 행위. 우리 회사가 있는 건물의 1층은 우리가 이사 온 날부터 약 8개월간 비어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1..

브랜딩/브랜드 B자 배우기 2022. 4. 19. 11:21

소비자의 스토리가 브랜드 히스토리 그리고 온브랜딩

브랜드를 만든 이유, 브랜드를 만들어 가는 과정, 브랜드와 소비자들 간에 있었던 어려움과 해결 방법, 브랜드로 바꾸려는 시장의 방향, 브랜드로 이웃을 도우려는 생각,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주고자 하는 가치 그리고 이것을 이루는 과정에서 스토리가 만들어진다. 브랜드의 스토리는 허구가 아니라 사실로서 브랜드가 새로운 가치로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일어나는 ‘감격과 감동’의 해설이다.   브랜드의 스토리는 허구가 아니라 사실로서 브랜드가 새로운 가치로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일어나는 ‘감격과 감동’의 해설이다.   소비자의 스토리,브랜드의 히스토리 좋은 스토리의 조건1) 진짜여야 한다. 2) 모순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언급하라. 3) 돈과 관련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좋은 브랜드는 좋은 스..

브랜딩/브랜드 B자 배우기 2022. 4. 4. 15:03

브랜드의 화장, 변장, 분장 혹은 성형 - 브랜드 리뉴얼

리뉴얼은 시장의 리딩 기업이 자신의 차별성과 시장을 방어하고 지속성장을 하기 위한 전략이다. 짐 콜린스(Jim Collins)가 자신의 저서《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Good to Great)》에서 밝혔듯이 1965년부터 1995년까지 30년 동안 1,432개 기업을 조사했는데 오직 126개, 즉 9%에 해당하는 회사만이 경쟁우위를 유지했다고 한다.《핵심에 집중하라(profit from the Core)》를 쓴 크리스 주크(Chris Zook)와 제임스 앨런(James Allen)의 2001년 연구에 의하면 1,854개 기업 중 오직 13%만이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했다고 한다. 리처드 포스터(Richard Foster), 사라 캐플런(Sarah Kaplan)의 저서인 《창조적 파괴(Cre..

브랜딩/브랜드 B자 배우기 2022. 4. 1. 15:58

브랜드 벤치마크, 우성결합 혹은 열성결합

벤치마크(Benchmark)는 지형 혹은 구조물 등의 높이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점이라는 뜻인데, 그것을 마케팅에서 타사 혹은 경쟁사의 장점과 강점을 자사에 적용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벤치마크(Benchmark) 상대방이 하면 불륜, 내가 하면 로맨스. 벤치마크도 이런 미묘함과 모호함의 경계선에 있는 단어다. 이 단어와 항상 짝을 이루는 단어는 베낀다, 카피한다, 모디파이(Modify)한다, 혹은 전략적으로 따라 한다는 말도 있다.  간혹 벤치마크를 벤치마케팅(Bench Marketing)이라고 쓰는 사람도 있는데 그것은 잘못 쓰고 있는 것이다. 원래 벤치마크(Benchmark)는 지형 혹은 구조물 등의 높이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점이라는 뜻인데, 그것을 마케팅에서 타사 혹은 경쟁사의 장점과 강..

브랜딩/브랜드 B자 배우기 2022. 4. 1. 14:19

온브랜딩은 브랜드의 인간화다. Humannization ON

The interview with tpf 셀 이스라엘(Shel Israel) 블로고스피어는 브랜든들이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 온브랜딩의 현장 중 하나이다. 그래서 많은 기업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브랜딩에 관심도를 높이고 있다. 소셜 미디어 전문가인 셸 이스라엘과 scobleizer.com을 운영하는 유명 블로거인 로버트 스코블은《블로그 세상을 바꾸다》에서 기업들이 블로고스피어에서 대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공저자인 셸 이스라엘에게 인터뷰를 요청하며 ‘블로그’에 대한 질문으로 일관하자 그는 먼저 다음과 같은 충고를 던졌다. 중요한 것은 블로그 자체가 아니라 소셜 미디어로서의 블로그이며, 세상을 바꾸는 블로깅의 핵심은 책의 원제에서 찾을 수 있듯 ‘Naked Conversation’, 즉 솔직한 대..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3. 2. 15:40

‘참여’에서 ‘몰입’으로, 디지털미디어와 브랜딩

The interview with 케롤린 핸들러 밀러(Carolyn Handler Miller) ‘어떤 일에 끼어들어 관계함’. 이것이 ‘참여’의 사전적 정의다. 그런 의미에서 온브랜딩은 ‘참여’를 전제로 한다. 어떤 일(한 기업의 브랜딩)에 끼어들어 관계(자신의 의견을 입 밖으로 내거나, 문자로 표현하고 그것을 공유하는)하는 것이 온브랜딩의 기본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저자 케롤린 핸들러 밀러가 강조하는 디지털 미디어가 힘을 갖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도 바로 이 ‘참여’다. 웹사이트에 ‘정보와 재미, 그리고 동질감의 코드를 심을 것’을 강조하던 그녀는 ‘참여’의 다음 단계까지 제시했다. 바로 ‘몰입’이다. 이 몰입이야말로 한 브랜드가, 그리고 웹페이지가 지속적으로 ON 될 수..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2. 28. 16:40

I²(Identity✕Integrity)✕ Technology = 온브랜딩

The interview with 프랭크 피더 (Frank Feather) 미국의 검색엔진 마케팅 회사인 iprospect에 따르면, 전체 인터넷 사용자의 절반 이상이 검색으로 얻어진 결과 페이지에서 두 번째 페이지 이상은 보지 않는다고 한다. 어떤 정보든 인터넷에서 자주, 상위에 검색될 만큼 ‘존재감 있는 실체’가 되지 않으면 그 정보는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지지조차 않는다는 것이다. 《검색2.0 : 발견의 진화》의 저자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이 그의 책에서 미래 경쟁우위의 핵심으로 언급한 새로운 개념인 ‘파인더빌리티(Findability, 검색성)’와 비슷한 맥락이다. 어쩌면 사람들에게 이제 검색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되어버릴지도 모른다. 미래학자이자 ‘전지구적으로 생각..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2. 28. 15:29

폴 길린, 브랜딩을 강화하는 소셜 미디어 전략, 인터렉션 온

The interview with 폴 길린(Paul Gillin) ‘The New Influencers’가 원제인 《링크의 경제학》은 온라인 환경에서 대두된 새로운 ‘영향력(자)’에 대해 이야기한다.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블로그, 팟캐스트, SNS 등과 같은 ‘도구’에 대한 것이 아니라, 온라인의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환경에서의 범위는 통제 구조, 기준, 계층 등의 특별한 제한이 없기 때문이다. 소셜 미디어에 관심을 갖는 PR전문가이자, 저널리스트인 《링크의 경제학》의 저자 폴 길린은 온브랜딩에 대해 마케팅 혹은 브랜딩 전문가와 다르지 않은 의견을 제시했다. 그가 생각하는 온브랜딩은 기업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명백히 구축하는 것을 시작으로, 소비자와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2. 28. 12:42

피터 글루어, 비즈니스ON을 위한 쿨헌팅·쿨파밍 - 메가트렌드를 미리 발견하라.

The interview with 피터 글루어(Peter A. Gloor) 《쿨헌팅, 트렌드를 읽는 기술》의 공저자 피터 글루어는 온라인 세상에서 혁신과 창조의 길에 이르는 군집 창조성(Swarm Creativity)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리고 군집에 의해 새로운 트렌드를 창조하는 방법으로 쿨헌팅(Coolhunting)과 쿨파밍(Coolfarming)이라는 개념을 언급했다. 이러한 개념을 강조한 그가 온브랜딩을 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당부한 말은 ‘신뢰’였다. 비록 온라인 시대가 도래하기 전부터 신뢰가 중요했다는 것을 인정하더라도, 온라인 공간에서는 ‘신뢰’라는 속성이 더 부각된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새로운 트렌드를 발견하여 비즈니스를 시작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발전시키고 유지시키는 것은 ‘신뢰’이기 ..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2. 28. 11:06

‘What’이 아닌 ‘Who’에 집중하는 브랜드가 되라. 온브랜딩은 가장 ‘자신다움’이다

아직 국내에 번역되지 않은《BrandDigital》의 저자, 앨런 애덤슨과 인터뷰를 진행하게 된 이유는《BrandDigital》에서 기업에게 던지는 메시지가 온브랜딩의 개념과 많은 부분에서 일치했기 때문이다. 스카이프(Skype)를 통해 진행된 인터뷰에서 앨런 애덤슨은 “지금 비록 얼굴을 마주하지 않고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지만, 우리는 대화를 통해 의견을 묻고 이해하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대화가 바로 관계 구축의 시작이죠. 온라인이라고 해서 특별하고 획기적인 방법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획기적인 기술 이면에 있는 것들은 바로 오프라인에서도 끊임없이 강조했던 요소들이며, 여전히 온라인에서도 중요한 것이죠”라고 말했다. 그의 저서에서 말하는 ‘브랜드디지털’은 기술..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2. 25. 21:30

혁신의 시대 - 온브랜딩 혁신 공식 ‘N=1(소비자는 단 1명), R=G(자원은 세계)’

The interview with M.S. 크리슈난(M.S.Krishnan) 인간은 언어를 통해 사물을 인식하고, 사고한다. 조지 오웰은 그의 소설 《1984》에 서서 빅브라더의 입을 빌어 “낱말을 없애는 건 대단히 매력적인 일이이지. 한 해 한 해 어휘는 줄어들고 그럴수록 의식의 한계도 좁아지겠지”라고고 말했다. 인간의 생각하는 능력을 박탈하기 위해 어휘의 개수를 줄이려는 빅브라더는 어휘의 통제를 통하여 사회를 통제하려 한 것이다. 반대로 어휘가 하나 늘어나는 것은 사고의 폭을 넓힌다. 경영학에서도 ‘경쟁 우위’ ‘블루오션’ ‘리엔지니어링’ ‘벤치마킹’ 등의 개념어가 하나씩 추가될 때마다 같은 시장 환경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함으로써 새로운 접근이 시도되었다. 어휘가 인간 사고의 폭을 넓힌다면, ..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2. 25. 19:35

슈퍼내추럴 코드의 생성법, 그것은 바로 고객이다.

브랜드를 통해 그 가치를 중심으로 하나가 되어 일종의 문화와 운동을 일으키는 '슈퍼내추럴 코드'의 생성법은 정답부터 이야기하자면, 바로 고객이다. 단순한 고객이 아니라 아주 특별한 고객을 통해서 슈퍼내추럴 코드가 생성된다. 이들이 온브랜딩에 있어서 브랜드의 원형(Archetype)을 결정하는 사람들이다. 바로 고객이다. 단순한 고객이 아니라 아주 특별한 고객을 통해서 슈퍼내추럴 코드가 생성된다. 그렇다면 브랜드를 만드는 사람이라면 소비자로 하여금 슈퍼내추럴 코드를 갖도록 하기 위해 브랜드를 어떻게 만들어야 하며, 또 무엇을 해야 할까? 여기까지 읽었다면 지금쯤 슈퍼내추럴 코드를 만드는 여섯 가지 방법 정도를 기대할 것이다. 물론 유니타스브랜드 Vol.12에 몇 가지 특이한 현상을 분류해 놓았다. 그러나 ..

브랜딩/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2022. 1. 27. 16:16

Ontology, 브랜드에서 아이덴티티로

인터넷은 제한적인 시간과 공간 안에서 운명에 지배 당해 왔던 ‘관계’를 재미, 이익, 정보, 관심, 참여, 개방 그리고 공유라는 이름으로 재정의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딜레이션십(dilationship), 즉 ‘디지털 릴레이션십’이다. 초창기의 인터넷은 정보의 교환이 주요한 기능이었기에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인터넷이 발달하고 본격적으로 온라인에서 비즈니스가 이루어지면서 이야기는 달라졌다. 브랜드의 본질인 ‘관계’에 대한 당연한 이야기를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좀 더 깊숙히 이야기해본다. Ontology, 브랜드에서 아이덴티티로 ‘잇 걸(it girl)’이라는 말이 있다. IT 업계에 있는 ‘젊은 여인’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젊고 섹시한 여자’라는 뜻이다. 1927년 엘리너 글린이 쓴 《I..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1. 19. 11:34

온브랜딩의 중심, ‘관계’는 무엇인가?

인터넷은 제한적인 시간과 공간 안에서 운명에 지배 당해 왔던 ‘관계’를 재미, 이익, 정보, 관심, 참여, 개방 그리고 공유라는 이름으로 재정의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딜레이션십(dilationship), 즉 ‘디지털 릴레이션십’이다. 초창기의 인터넷은 정보의 교환이 주요한 기능이었기에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인터넷이 발달하고 본격적으로 온라인에서 비즈니스가 이루어지면서 이야기는 달라졌다. 브랜드의 본질인 ‘관계’에 대한 당연한 이야기를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좀 더 깊숙히 이야기해본다. Relationship, 생명과학 그리고 관계 relationship은 사람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또한 relationship은 생물학에서 ‘유연 관계’라는 학술 용어로 쓰이는데, 이는 생물 분류군의..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1. 19. 11:32

온라인이 만드는 관계의 ‘디지털 릴레이션십’

인터넷은 제한적인 시간과 공간 안에서 운명에 지배 당해 왔던 ‘관계’를 재미, 이익, 정보, 관심, 참여, 개방 그리고 공유라는 이름으로 재정의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딜레이션십(dilationship), 즉 ‘디지털 릴레이션십’이다. 초창기의 인터넷은 정보의 교환이 주요한 기능이었기에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인터넷이 발달하고 본격적으로 온라인에서 비즈니스가 이루어지면서 이야기는 달라졌다. 브랜드의 본질인 ‘관계’에 대한 당연한 이야기를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좀 더 깊숙히 이야기해본다. 관계의 Dilationship 온라인 족보 한 포털 회사에 이런 제안을 한 적이 있다. “저는 생물학적으로는 죽어도 온라인에서 영원히 살고 싶습니다. 그러니까 제 말은 제가 죽은 다음에도 저의 딸과 아들과 ..

브랜딩/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2022. 1. 14. 14:04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Copyright©The Unitas All Rights Reserved
푸터 로고 Sustainable Ecosystem
페이스북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