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EcoBrand CASE - 이익에서 유익으로 가는 새로운 시도: B랩과 B기업

에코시스템브랜드

by Content director 2022. 7. 22. 13:48

본문

 

B랩, B기업의 B는 ‘유익한’의 뜻을 가진 beneficial 혹은 ‘유익’을 의미하는 benefit이다. 일반적인 기업이 profit(이익)을 추구하는 것과 꽤 상반된다. 길버트는 이런 B기업의 영역을 제4섹터라고 정의하면서, B기업 인증제도를 만들었다. B랩은 B기업 인증을 통해 새로운 경제로 가는 길의 동반자를 모색하며 하나의 생태계를 구축할 꿈을 꾸고 있다. B랩과 B기업의 시도와 최근의 발전, 활발한 움직임은 우리의 비즈니스와 기업과 브랜드 내에서도 더 나은 사회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믿음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임이 분명하다.

 

 

브랜드의 
초월적 책임감

 

‘이윤의 극대화’는 기업의 오랜 미덕으로 여겨져 왔다. 미국의 유명 경제지 포브스(Forbes)의 모토는 ‘Forbes, The capitalist tool (포브스, 자본주의의 도구)’이다. 2011년 초, ‘초과이익공유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당시 한 대기업 총수는 ‘이익공유제가 사회주의 용어인지 자본주의 용어인지 공산주의 용어인지 도대체 모르겠다’고 발언했고, 이에 대해 사람들은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져 떠들썩한 토론(?)의 장을 벌였다. 저 말이 틀렸다고 말하려는 건 아니다. 지금 당장 우리 사회에 ‘초과이익공유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단지 기업이 그 초과이익을 창출하기까지 투자된 자본, 인력, 상품을 구매한 고객의 동인을 포함한 보이지 않는 수고들이 오로지 그 기업의 능력과 역량으로만 비롯된 것이냐는 의문을 던지고 싶을 뿐이다.

 

 

기업의 이윤이 극대화되는 데는 기업과 그 주주만이 주체로 존재하지 않는다.
소모되는 자연, 본의 아니게 거대한 자본에 짓밟히는 영세한 사업자들 역시 존재함을 명심해야 한다. 

 

기업의 이윤이 극대화되는 데는 기업과 그 주주만이 주체로 존재하지 않는다. ‘에코브랜드’ 섹션에서 살펴보았듯이, 그 안에는 소모되는 자연, 본의 아니게 거대한 자본에 짓밟히는 영세한 사업자들 역시 존재함을 명심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기업이 짚어야 할 대의이며, 상업 전선의 최전방에서 소통하는 브랜드가 잊지 말아야 할 초월적 책임감이다. 그리고 그 대의와 초월적 책임감은 비즈니스의 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동력이 된다.

 

다음의 선언문을 보자.


상호의존성 선언문

 

우리는 사기업의 동력이 공공의 유익을 창조하는 
경제의 새로운 섹터를 마음 속에 그린다.
새로운 섹터는 새로운 종류의 기업으로 구성된다. B 기업이다.
B 기업은 목적이 이끄는 기업이며, 
주주가 아닌 모든 이해당사자의 유익을 창출한다.
새로이 부상하는 섹터의 구성원으로서, 
그리고 B 기업의 기업가와 투자자로서,
우리는 우리 자신을 증거하기 위해 다음의 사실을 준수한다.
우리는 우리가 세상에서 찾는 변화가 되어야 한다.
모든 비즈니스는 사람과 공간 모두를 고려하며 행해져야 한다.
비즈니스는 그 제품과 실행과 이익으로 해악을 끼치지 않고 
오직 유익만을 끼치길 갈망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각각 상호의존적임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행동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므로 우리는 서로와 미래 세대에게 책임을 지도록 한다.

 

출처: B Lab, ‘2012 B Corporation Annual Report’ p58


B랩의
시작

 

과연 이런 기업이 존재할 수 있을까?

1993년 펜실베니아 대학 경영대학원의 제이 코언 길버트와 그의 친구 세드 버거, 탐 오스틴은 프로젝트성 과제로 벤처회사 스포츠 브랜드 앤드원(And 1)을 설립했다. 앤드원은 길거리 농구 후원은 물론, 수익의 5%는 반드시 지역사회 기부, 직원 복지 투자, 지역사회의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직업 훈련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비랩 설립자들의 첫 시작, 농구화 및 의류 제조사 앤드원

 

분명 영리기업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힘을 쏟았던 앤드원이 변화하게 된 계기는 기업성장으로 인한 주식 공개였다. 주주들의 배당압력, 투자자들과의 갈등은 결국 앤드원이 매각되는 단초를 제공했다. 

 

제이 코언 길버트(Jay Coen Gilbert) (출처 : bcorporation유투브)

 

길버트는 이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 문화 혁신 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기로 마음먹었고, 그 결과물은 위의 ‘상호의존성 선언문’을 발표한 B랩, 그리고 이들이 싱크탱크(think tank)가 되어 전개하는 B기업이다.

 

 

B랩, B기업의 B는 ‘유익한’의 뜻을 가진 beneficial 혹은 ‘유익’을 의미하는 benefit이다. 일반적인 기업이 profit(이익)을 추구하는 것과 꽤 상반된다. 길버트는 이런 B기업의 영역을 제4섹터라고 정의하면서, B기업 인증제도를 만들었다. B랩은 B기업 인증을 통해 새로운 경제로 가는 길의 동반자를 모색하며 하나의 생태계를 구축할 꿈을 꾸고 있다. 

 

비콥 인증(B Corporation Certification): 기업의 사회성과 공익성을 측정할 수 있는 국제적인 인증 도구이다.

 

또한 B랩이 개발한 신용평가기구 GIIRS(기어스, Global Impact Investing Rating System)는 사회책임투자기업의 신용을 비롯해 사회 환경 분야의 비재무적인 성과를 평가한다.

업종 별로 약간씩 다르지만, B기업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지배구조, 투명성, 커뮤니케이션, 직원, 커뮤니티, 환경, 비즈니스 모델 등의 분야로 세분화된 질문들(매년 업데이트된다)의 총점인 200점 중 80점 이상을 획득해야 한다. 그 이후 기업과 법률단이 논의하며 기업의 정관을 고쳐나가고, 그 정관에는 기업의 주인이 주주(shareholder)가 아닌 이해당사자(stakeholder) 임을 명시해야 한다. ‘하면 좋고, 아니면 말고’로 인식되던 개념을 정관에 명시하며 책임감을 부여하는 것이다.

 

새로운 경제 영역을 창조하고 있는, B Corp에 인증을 부여하는 비영리기관 B Lab(출처 : http://www.bcorporation.net/)

 

이전에 없던 형태의 B기업을 새로운 분야로 인정, 설립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법률은 2012년 현재, 미국의 메릴랜드 주에서 2010년 4월에 통과된 것을 시작으로 버몬트, 뉴저지, 뉴욕, 버지니아, 캘리포니아, 하와이에서 통과됐으며, 펜실베니아, 노스캐롤라니아, 오레곤, 콜로라도, 일리노이, 조지아 주 등에서 입법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B기업 인증을 받은 기업은 2012년 10월 기준, 15개국 60개 산업군의 643개에 달하며, 이들의 수입총액을 합하면 한화로 약 4조 6천억에 이르렀고, 2022년 B기업 인증을 받은 기업은 77개국  4,000개 이상된다. 

 

5가지 영향 영역에서 검증된 점수가 해당 규모 그룹에서 글로벌 상위 5%에 선정되는 Best for the World(출처 : http://www.bcorporation.net/)

 

B랩과 B기업은 이제 시작 단계고, 넘어야 할 산들은 여전하다. 아무리 좋은 기준으로 인증을 받더라도, 소비자들이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지 못한다면 무용지물이 될 우려가 있다. B기업 법안이 기존의 상법과 충돌할 경우 발생할 갈등의 여지도 있는 게 사실이다. 자체 연구와 각계 리더들로부터 자문을 구해 평가기준을 마련했다 하더라도 객관식 질문은 기업의 비가시적인 철학과 정체성을 걸러버릴 여지가 남아있다.

https://vimeo.com/651234509

B Corp의 역할과 내용에 관한 Movement 영상 (출처 : http://www.bcorporation.net/)

 

또한 세계 최고(最古), 최고(最高)의 환경단체 중 하나인 시에라 클럽이 ‘가장 믿을 만한 에코 인증의 하나’라는 찬사를 남겼어도 B기업 인증 질문을 비롯한 일련의 평가 과정은 여전히 기업의 생태계적 영향력을 얼마나 공신력 있게 평가하느냐보다 기업과 직원, 개인, 사회와의 관계성 형성에 치중한 듯하다. 그러나 B랩과 B기업의 시도와 최근의 발전, 활발한 움직임은 우리의 비즈니스와 기업과 브랜드 내에서도 더 나은 사회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믿음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임이 분명하다.

 

 

더 나은 사회를 향하는
B랩, B기업 


딜라이트 보청기
(Delight Hearing Aid)


동북아시아 최초로 B기업 인증을 받은 우리나라의 소셜벤처기업. 2009년, 세 명의 대학생은 청각장애인에게 국가가 지원하는 보조금 34만 원에 맞는 보청기를 개발하기로 마음먹었다. 다들 터무니없는 가격이라고 말했지만, 딜라이트는 기본형 보청기를 34만 원에 맞춰 개발해냈다. 부가 기능이 필요한 소비자들을 위해 60만 원대부터 250만 원 의 다양한 고급형 모델도 구비했다. 기존의 보청기 업계에서는 딜라이트가 파격적인 가격으로 시장에 난입했다며 비난하기도 했지만, 딜라이트 사업 목적은 여전히 뚜렷하다. 가진 자가 아닌 취약계층을 위한 기업, 듣지 못해 외로운 사람들을 위로하는 기업을 지향한다. 딜라이트가 하는 일은 표면상으로는 보청기 사업이지만, 결국 시장의 정체되어 있는 ‘균형(equilibrium)’을 깨뜨리는 혁신이었다.

 


알터 에코
(Alter Eco)


1998년, 크리스탕 르콩트가 설립한 프랑스의 공정무역 브랜드다. HEC를 졸업하고 평범한 직장생활을 하던 어느 날, 그는 영세농에게 시장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커피를 매입하여 판매하는 방식을 다룬 기사를 읽게 된다.

학교에서 배운 적 없는 새로운 비즈니스 방식에 흥미를 느낀 그는 공정 무역에 대한 공부를 하기 시작했고 농민과 유통업계, 소비자 모두 상생할 수 있는 원리에 매료되어, 이 과정을 하나의 인증된 브랜드로 만들어 소비자들에게 인식시켜야겠다고 생각했다.

공정무역이라는 개념이 거의 없던 시기였기 때문에 유통경로를 개척하는 데 힘들었지만, 현재 알터 에코 제품은 프랑스에서 5초에 하나 꼴로 팔리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공정무역이 갖는 상생의 원리를 전파한 것이다. 2009년에 B기업 인증을 받았다.


베터월드북스
(BetterWorldBooks)


영혼이 있는 서점, 베터월드북스는 2002년 두 명의 대학생들에게서 시작했다. 미국 노트르담 대학 졸업반이던 자비에르와 크리스는 중고 교과서를 인터넷으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생각보다 시장성이 있다는 것을 판단한 이들은, 수익금으로 문맹 퇴치를 위한 기금을 조성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자 의기투합했고, 교내 비즈니스 모델 공모전에서 우승하며 받은 상금 7천만 달러로 사업을 시작했다.

 

 

2003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베터월드북스는 미국 내 2,300여 개의 학교와 3,000여 개 도서관의 도움을 받아 5,800만 권의 책으로 문맹퇴치와 교육을 위한 1,040만 달러의 가치를 창출했다. 매립 위기에 처한 4만 톤의 책을 구원한 셈이다. 베터월드북스는 본인들의 DNA를 트리플바텀라인(triple bottom line)으로 정의한다. 

 

존 엘킹턴이 1994년 제안한 용어로, 사람(people), 지구(planet), 이윤(profit), 즉 사회, 환경, 경제의 세 측면을 모두 충족하는 비즈니스를 의미한다. 베터월드북스는 무려 36%의 지지로 2009년 5월 미 경제주간지  ‘비즈니스위크’가 꼽은 가장 유망한 사회적 기업의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파타고니아
(Patagonia)


‘설마 그 파타고니아?’라고 되물었다면, 맞다. 그 파타고니아다. 창립자이자 CEO인 이본 취나드가 ‘죽어버린 지구 위에서 할 수 있는 비즈니스는 없다’는 명언을 남긴 것처럼,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 파타고니아는 환경 경영, 사회 책임적 경영, 착한 경영의 롤모델로 많이 인용되어 왔다. 파타고니아는 1985년부터 매출의 1% 혹은 세전이익 10%를 기부해왔고, 이 자금으로 2001년부터는 비영리단체 ‘지구를 위한 1%(1% for planet)’를 운영하고 있다. 2007년 1월 3일, 캘리포니아 주 청사 앞에 기존 기업을 B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사람들 중에 이본 취나드가 있었다. 취나드의 말을 들어보자. “5년, 10년 후에 우리가 오늘을 돌아보며, 오늘이 혁명의 시작이었다고 말했으면 좋겠다. 왜냐하면 존재하는 패러다임은 더 이상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늘이 미래다.”


메소드(Method)
그리고 유나이티드 바이 블루
(United by Blue)

친환경 세제 브랜드, 메소드(Method). 2000년, 캘리포니아에서 룸메이트 아담과 에릭이 여러 연구 끝에 인체와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 세제를 개발해냈다. 뛰어난 성능은 물론 카림 라시드의 용기 디자인으로 인기를 끌며 미국, 영국, 캐나다까지 진출했던 메소드는 2007년 B기업 인증을 받았다. 2008년부터는 100%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용기를 생산한다. 

 

바다에 떠다니는 플라스틱을 수거하여 활용하는데, 그 과정에는 유나이티드 바이 블루(United by Blue)라는 한 의류 브랜드의 도움이 있었다. 유나이티드 바이 블루는 스쿠버 다이빙 매니아로 물고기를 사랑한 브라이언 린튼이 2010년에 런칭한 브랜드로, 역시 B기업이다. 한 벌의 옷을 팔면 1파운드의 해양쓰레기가 청소된다. 2011년 12월 기준으로 약 36.3톤에 이르는 해양쓰레기를 수거했으며, 이 중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은 메소드의 용기로 다시 태어났다. 두 기업의 파트너십은, 환경보호 차원의 단순한 청소로 끝날 수 있는 작업을 다시 자원으로 환원하여 연결할 수 있는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출처 : 유니타스브랜드 Vol 28 에코시스템 브랜드 유니타스브랜드 SEASON 2 Choice 
- Eco Sprit Case 이익에서 유익으로 가는 새로운 시도 : B랩과 B기업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