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유니타스라이프
  • #️⃣️ 태그로 보는 브랜드 주제
  • 해외인터뷰
  • 분류 전체보기
    • about
      • 편집장의 글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런칭 시뮬레이션
      • 브랜드 서신 VOL 26
    • 브랜딩
      • 브랜드, 브랜딩이란?
      • 브랜드 B자 배우기
      • 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 브랜드와 트렌드
      • 작지만 강한, 스마트하게 브랜딩
      • 원형의 브랜딩, RAW
      • 브랜딩의 연금술, 판타지
      • 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 전략의 시각화, 디자인 경영
      • 브랜드 경험
      • 브랜드 철학의 전략화
      • 브랜드의 영혼, 컨셉
      • 브랜드 묵시록, 런칭
      • 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 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 브랜드 팬덤 매니아, 뱀파이어, 오라클
      • 불황에서 브랜딩, 불황으로 브랜딩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브랜드인사이트
      • 브랜드직관력
      • 브랜드임계명언
    • 소셜 브랜드 SOCIAL BRAND
      • 사회적 브랜드
    • 에코시스템브랜드
    •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 자기다움
    • 휴먼브랜드
    • 창업
      • 브랜드창업
      • 창업 입문
    • 프로젝트 다큐
    • 리더십바이러스
    • 유니타스라이프
    • 시장조사와 여행
    • 나듦의 계절, 인디언 섬머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ESG브랜딩

  • 철학 경쟁

    2023.01.02 by Content director

  • [폴 호켄 인터뷰_03] 숭고한 존재, 변혁으로 가는 길

    2022.11.25 by Content director

  • [폴 호켄 인터뷰_02] 회복의 비즈니스는 이해에서 시작한다

    2022.11.25 by Content director

  • [폴 호켄 인터뷰_01] 생명에 이바지 하는 생명의 비즈니스, 자신의 가치로 변혁하라

    2022.11.25 by Content director

  • [좋은 브랜드가 좋은 생태계이다_05] 시장의 거울은 자연이다

    2022.07.27 by Content director

  • [좋은 브랜드가 좋은 생태계이다_04] 에코브랜드 :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자

    2022.07.27 by Content director

  • [좋은 브랜드가 좋은 생태계이다_03] 에코브랜드 : 영혼이 없는 브랜드의 탄생

    2022.07.27 by Content director

  • [좋은 브랜드가 좋은 생태계이다_02] 기업의 의무과 가치 : 돈만 세는 돼지들

    2022.07.27 by Content director

  • [좋은 브랜드가 좋은 생태계이다_01] Brand is Evil

    2022.07.27 by Content director

  • 좋은 브랜드가 좋은 생태계이다.

    2022.07.27 by Content director

  • [생태적 경제세계관 : 브랜드와 쓰레기_05] 브랜드와 쓰레기

    2022.07.27 by Content director

  • [생태적 경제세계관 : 브랜드와 쓰레기_04] Eco Brand 소비관 : 지구인으로 살기

    2022.07.27 by Content director

  • [생태적 경제세계관 : 브랜드와 쓰레기_03] Eco Brand의 사이클, 생산-생산-생산

    2022.07.27 by Content director

  • [생태적 경제세계관 : 브랜드와 쓰레기_02] 자연의 돌연변이, 경제(The Mutation of ecosystem, economy)

    2022.07.27 by Content director

  • [생태적 경제세계관 : 브랜드와 쓰레기_01] 브랜드는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다

    2022.07.27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 쓰레기와 쓰레기 브랜드 : 생태적 경제 세계관

    2022.07.27 by Content director

  • EcosJob CASE - 결국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2022.07.25 by Content director

  • 인터페이스(Interface, Inc.)사, 비즈니스의 개념을 혁신하다. 선(善)의 실천에 따라온 수익

    2022.07.21 by Content director

  • 막대무늬 밤나방에게도 좋은 브랜드

    2022.07.11 by Content director

철학 경쟁

무혈(Bloodless) 경쟁인 철학 경쟁에서 기업이 이겨야 할 대상은 오로지 철학과 달리 행동하려는 자기 자신밖에 없다. 과거 경영과 마케팅 전략은 ‘타깃(Target)’을 설정하고 ‘캠페인’을 진행하여 동종 업계의 경쟁자를 와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경쟁의 의미는 한쪽이 살면 다른 한쪽은 죽는다는 개념으로 전락했고 ‘승자가 모든 것을 갖는다(Winner takes it all)’는 캐치프레이즈는 경영자와 마케터를 흡사 전장(battlefield) 같은 시장으로 내몰았다. 그런데 최근 브랜드 전략들이 경쟁을 전쟁에서 조화의 개념으로 바꿔 가고 있다. 브랜드를 통해서 사회를 변화시키고, 브랜드와 함께 자연을 보호하고, 고객의 삶의 질을 높이고, 좋은 경제 시스템을 만들고, 건전한 문화의 조성을 위해..

브랜딩/브랜드인사이트 2023. 1. 2. 18:49

[폴 호켄 인터뷰_03] 숭고한 존재, 변혁으로 가는 길

1) 파괴의 비즈니스, 수호의 비즈니스 2) 회복의 비즈니스는 이해에서 시작한다 3) 숭고한 존재, 변혁으로 가는 길 The Interview with 환경운동가 폴 호켄(Paul Hawken) 우리는 정말 바보 같은 종이 될 수도 있다. 반면 우리는 또한 숭고한 존재가 될 수도 있다. 철학자 한스 요나스는 인간 중심적 입장에서 환경 보전을 주장했다. 그는 저서 《책임의 원칙: 기술시대의 생태윤리》에서 하이데거의 실존 존재론을 계승하여 ‘신을 위해 생명을 보전할 책임’이라는 일종의 목적론적 자연신학이론을 제시했다. 기존 세계를 지배하던 유토피아적 희망의 원리가 아닌, 책임의 원리에 근거한 사상이었다. 요나스는 미래의 인류가 지구 상에 살아남을 가능성이 전혀 없어 보인다는 절망과 숙명론에 강력하게 대항했다..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11. 25. 15:29

[폴 호켄 인터뷰_02] 회복의 비즈니스는 이해에서 시작한다

1) 파괴의 비즈니스, 수호의 비즈니스 2) 회복의 비즈니스는 이해에서 시작한다 3) 숭고한 존재, 변혁으로 가는 길 The Interview with 환경운동가 폴 호켄(Paul Hawken) 기업부터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변화하는 움직임들이 우리를 어떻게 구원해 줄 수 있을까? “플루토늄이든 방사성 폐기물이든, 모두가 그 원리는 인간이 자연에서 추출한 결과로 만들어낸, 이른바 ‘제2의 자연’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2의 자연’은 이제 우리들의 사회와 자연을 잠식하고, 원래부터 있는 ‘제1의 자연’을 대신하여 차츰 인간의 정신을 억압하고 지배하고 있다.” - 다카기 진자부로, 《지금 자연을 어떻게 볼 것인가》 中 북태평양과 대서양에는 거대한 쓰레기 섬이 떠다니고 있다. 북태평양의 쓰레기 섬의 면적은 20..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11. 25. 15:29

[폴 호켄 인터뷰_01] 생명에 이바지 하는 생명의 비즈니스, 자신의 가치로 변혁하라

1) 파괴의 비즈니스, 수호의 비즈니스 2) 회복의 비즈니스는 이해에서 시작한다 3) 숭고한 존재, 변혁으로 가는 길 The Interview with 환경운동가 폴 호켄(Paul Hawken) “네 말처럼, 우주의 역사에 있어서 인간의 탄생은 하나의 주요한 사건, 정말로 주요한 사건이었어. 인간이 탄생하자, 우주의 나머지 부분은 전혀 흥미를 끌지 못했고 전개되던 드라마에서도 밀려났지. 이 드라마에는 지구 혼자로 충분했어. 지구는 인간의 출생지이자 고향이거든. 그게 지구의 의미거든. ‘역할 맡은 자들’은 세계를 인간 생명의 지지 기반, 즉 인간의 생명을 생산하고 유지하기 위해 고안된 기계로 간주하지.” - 다니엘 퀸, 《고릴라 이스마엘》 中, 이스마엘의 대사 환경위기의 심각성을 부르짖으며 더 이상의 파괴..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11. 25. 15:28

[좋은 브랜드가 좋은 생태계이다_05] 시장의 거울은 자연이다

브랜드가 자연과 생태계를 이루는 대안과 공식 "good brand is good ecosystem" 01 _ Brand is Evil 02 _ 기업의 의무과 가치 : 돈만세는 돼지들 03 _ 영혼이 없는 브랜드의 탄생 04 _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자 05 _ 시장의 거울은 자연 지구를 구할 공식인 GB=GE(good brand is good eco-system)가 과연 작동할 수 있을까? 매우 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인간이 이 개념을 인격체(人格體)로서 인식하면 시장에서 바로 작동된다. 더 쉽게 설명하면 인간이 인간다워지면 풀 수 있는 문제라는 뜻이다. 개와 고양이에게 거울을 보여주면 자신의 모습을 보고 매우 당황스러워한다. 숨거나, 짖거나 아니면 호기심을 가지고 계속 주변에서 서성거린다. 인간..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7. 14:22

[좋은 브랜드가 좋은 생태계이다_04] 에코브랜드 :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자

브랜드가 자연과 생태계를 이루는 대안과 공식 "good brand is good ecosystem" 01 _ Brand is Evil 02 _ 기업의 의무과 가치 : 돈만세는 돼지들 03 _ 영혼이 없는 브랜드의 탄생 04 _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자 05 _ 시장의 거울은 자연 애니 레너드는 저서《물건 이야기》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물건들의 뒷이야기가 얼마나 침울하고 끔찍한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그중에 가장 충격적인 물건 이야기는 면 티셔츠 한 장에 관한 이야기다. 면 티를 만들기 위한 면화의 재배면적은 세계경작지의 2.5%에 불과하지만, 여기에는 세계 화학비료의 10%와 살충제 25%가 사용된다. 면화를 재배하는 대부분의 사람이 농약으로 중독된 하층민이다. 우리는 면 티 한 장이 시장을 둘러보면 ..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7. 14:03

[좋은 브랜드가 좋은 생태계이다_03] 에코브랜드 : 영혼이 없는 브랜드의 탄생

브랜드가 자연과 생태계를 이루는 대안과 공식 "good brand is good ecosystem" 01 _ Brand is Evil 02 _ 기업의 의무과 가치 : 돈만세는 돼지들 03 _ 영혼이 없는 브랜드의 탄생 04 _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자 05 _ 시장의 거울은 자연 ‘기업은 돈만 벌면 된다.’ 이 표현이 너무 노골적이라 거부감이 생겼다면, 기업에서 사용하는 순화용어를 사용해서 ‘목표 매출 달성’이라고 세련되게 말할 수 있다. 기업이 이익과 이윤(돈)을 추구하는(밝히는) 이유는 기업의 탄생이 바로 자본주의(資本主義)라는 자궁에서 만든 자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이 돈을 추구하는 것은 마치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엄마의 젖을 찾는 것과 같다. 지금의 자본주의 시스템은 유럽 열강들이 식민 ..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7. 13:54

[좋은 브랜드가 좋은 생태계이다_02] 기업의 의무과 가치 : 돈만 세는 돼지들

브랜드가 자연과 생태계를 이루는 대안과 공식 "good brand is good ecosystem" 01 _ Brand is Evil 02 _ 기업의 의무과 가치 : 돈만세는 돼지들 03 _ 영혼이 없는 브랜드의 탄생 04 _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자 05 _ 시장의 거울은 자연 인간은 누구나 원본이다. 누구처럼 되기 위한 삶이 아니라 자기답게 살아가야 한다. 하지만 본능적으로 누구처럼 되고 싶기에 브랜드를 선택하게 된다. 결국 브랜드와 트렌드의 복사본이 되어 끊임없이 누구처럼 될 수 있다는 허영의 환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되었다. 모든 사람을 복사본으로 만드는 막강한 브랜드는 인간의 결점 덩어리를 미화시킨 사회의 고름 덩어리다. 하지만 이렇게 곪아가고 있는 상황을 비즈니스에서는 ‘혁신’이라고 한다..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7. 12:32

[좋은 브랜드가 좋은 생태계이다_01] Brand is Evil

시장은 브랜드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브랜드는 경제다(brand is economy). 시장에 ‘상품’으로 존재하는 상품은 없다. 시장의 모든 상품은 가치, 이미지, 트렌드, 철학, 신뢰, 스타일, 디자인처럼 보이지 않는 것과 보이는 것으로 이루어진 브랜드다. 이런 총체적인 가치로 이루어진 브랜드는 수많은 직장과 직업을 만들어낸다. 이런 강력한 브랜드가 단지 돈만 버는 용도로 사용된다면 그야말로 지구의 독이 된다. 반면에 이런 브랜드가 자연과 생태계를 이룬다면 ‘약’이 될 수 있다. 브랜드가 있는 시장을 자연과 연결된 유기체라고 인식해서, 브랜드와 자연의 그 어떤 것이 균형점과 보완점 그리고 상호 관계를 이룬다면 어떤 지구가 될까? 이제 시장이 아니라 자연에서 현재 지구 생태계 문제의 대안과 공식을 만들어..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7. 12:08

좋은 브랜드가 좋은 생태계이다.

시장은 브랜드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브랜드는 경제다(brand is economy). 시장에 ‘상품’으로 존재하는 상품은 없다. 시장의 모든 상품은 가치, 이미지, 트렌드, 철학, 신뢰, 스타일, 디자인처럼 보이지 않는 것과 보이는 것으로 이루어진 브랜드다. 이런 총체적인 가치로 이루어진 브랜드는 수많은 직장과 직업을 만들어낸다. 이런 강력한 브랜드가 단지 돈만 버는 용도로 사용된다면 그야말로 지구의 독이 된다. 반면에 이런 브랜드가 자연과 생태계를 이룬다면 ‘약’이 될 수 있다. 브랜드가 있는 시장을 자연과 연결된 유기체라고 인식해서, 브랜드와 자연의 그 어떤 것이 균형점과 보완점 그리고 상호 관계를 이룬다면 어떤 지구가 될까? 이제 시장이 아니라 자연에서 현재 지구 생태계 문제의 대안과 공식을 만들어..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7. 12:00

[생태적 경제세계관 : 브랜드와 쓰레기_05] 브랜드와 쓰레기

브랜드 쓰레기와 쓰레기 브랜드 : 생태적 경제 세계관 01_ 브랜드는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다 02_ 자연의 돌연변이, 경제(The Mutation of ecosystem, economy) 03_ Eco Brand의 사이클, 생산-생산-생산 04_ Eco Brand 소비관 : 지구인으로 살기 05_ 브랜드와 쓰레기 만약에 쓰레기 10리터를 버리는데 100만 원의 세금을 낸다면 시장과 환경은 어떻게 달라질까? 사람들은 쓰레기를 만들려고 하지 않기 위해서, 웬만해서는 브랜드를 구매하지 않게 된다. 이런 극단적인 기준에서 바라보면 브랜드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평생 가지고 있을 브랜드와 쓰레기다. 물론 이런 시스템을 실행시키면 시장의 저성장으로 인류 최악의 날이 올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시점에 생태학 관점에서..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7. 11:01

[생태적 경제세계관 : 브랜드와 쓰레기_04] Eco Brand 소비관 : 지구인으로 살기

브랜드 쓰레기와 쓰레기 브랜드 : 생태적 경제 세계관 01_ 브랜드는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다 02_ 자연의 돌연변이, 경제(The Mutation of ecosystem, economy) 03_ Eco Brand의 사이클, 생산-생산-생산 04_ Eco Brand 소비관 : 지구인으로 살기 05_ 브랜드와 쓰레기 세계 환경오염에 관한 보고 자료를 보면 수년 내에 지구는 곧 멸망할 것처럼 말한다. 하지만 전혀 실감이 나지 않는 이유는 현재 우리가 마실 물이 풍부한 도시 안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 5위라고 말하지만, 여전히 한강은 흐르고, 사무실과 가정에 있는 정수기에서는 얼음까지 나온다. 그뿐만 아니라 편의점에 가면 수십 가지의 물 브랜드들이 전시되어있다. 이처럼 서울에서는 물이 ..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7. 10:59

[생태적 경제세계관 : 브랜드와 쓰레기_03] Eco Brand의 사이클, 생산-생산-생산

브랜드 쓰레기와 쓰레기 브랜드 : 생태적 경제 세계관 01_ 브랜드는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다 02_ 자연의 돌연변이, 경제(The Mutation of ecosystem, economy) 03_ Eco Brand의 사이클, 생산-생산-생산 04_ Eco Brand 소비관 : 지구인으로 살기 05_ 브랜드와 쓰레기 자신의 친딸을 성폭행한 아빠를 인면수심(人面獸心)이라고 한다. 그러나 자연계에서 어떤 짐승도 자신의 본능을 거스르고 새끼를 성폭행하는 경우는 없기에, 이런 사람은 악마이며 괴물이기에 인면마심(人面魔心)이라고 해야 한다. 반면에 자신과는 전혀 상관없지만 약한 자를 위해서 생명과 전 재산을 바치는 사람도 있다. 도대체 사람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를 ‘사람’이라고 할까? 사람의 정의가 애매한 것처럼, ..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7. 10:56

[생태적 경제세계관 : 브랜드와 쓰레기_02] 자연의 돌연변이, 경제(The Mutation of ecosystem, economy)

브랜드 쓰레기와 쓰레기 브랜드 : 생태적 경제 세계관 01_ 브랜드는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다 02_ 자연의 돌연변이, 경제(The Mutation of ecosystem, economy) 03_ Eco Brand의 사이클, 생산-생산-생산 04_ Eco Brand 소비관 : 지구인으로 살기 05_ 브랜드와 쓰레기 수천 년 전부터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단어의 어원을 살펴보면 그 당시의 세계관을 알 수 있다. 단어가 있기 전에 현상 이 먼저 있었고, 그 현상을 이해하고 전달하기 위해서 단어가 만들어진다. 그렇게 만들어진 단어가 수천 년 동안 사용되기 위해서는 보편적 진리와 상식을 담고 있으며, 더 나아가 다른 민족의 단어와도 상호 간의 해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디자인과 브랜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컨..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7. 10:48

[생태적 경제세계관 : 브랜드와 쓰레기_01] 브랜드는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늘 어떤 브랜드 청바지를 샀다고 치자. 그 청바지를 20년 입다가 다시 되팔았을 때 지금 구매한 금액보다 무려 100배를 더 받을 수 있다고 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자동차도 지금 사서 40년 뒤에 팔았을 때 처음 구매한 가격의 무려 10배를 받을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브랜드를 생산하는 사람은 무엇에 관심이 있을까? 브랜드를 구매하는 사람은 어떤 기준을 가질까? 이제 더 이상 대량생산, 대량소비 그리고 대량 쓰레기를 만드는 브랜드는 브랜드라고 부르지 말아야 한다. 쓰레기가 될 브랜드를 줄여서 그냥 ‘쓰레기’라고 말해야 한다. 생태적 경제 세계관 때문에 구매 기준이 ‘쓰레기를 살 것인가’에서 ‘브랜드를 살 것인가’로 바뀌게 된다면, 분명 지금과 다른 시장, 다른 환경 그리고 다른 브랜드..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7. 10:39

브랜드 쓰레기와 쓰레기 브랜드 : 생태적 경제 세계관

브랜드를 되팔았을 때 지금 구매한 금액보다 무려 10배, 100배를 더 받을 수 있다고 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브랜드를 생산하는 사람은 무엇에 관심이 있을까? 브랜드를 구매하는 사람은 어떤 기준을 가질까? 이제 더 이상 대량생산, 대량소비 그리고 대량 쓰레기를 만드는 브랜드는 브랜드라고 부르지 말아야 한다. 쓰레기가 될 브랜드를 줄여서 그냥 ‘쓰레기’라고 말해야 한다. 생태적 경제 세계관 때문에 구매 기준이 ‘쓰레기를 살 것인가’에서 ‘브랜드를 살 것인가’로 바뀌게 된다면, 분명 지금과 다른 시장, 다른 환경 그리고 다른 브랜드가 지구에 존재하게 될 것이다. 01_ 브랜드는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다 02_ 자연의 돌연변이, 경제(The Mutation of ecosystem, economy) 03_ ..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7. 10:34

EcosJob CASE - 결국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기업과 브랜드의 존재 목적은 우리 자신과 기업, 브랜드의 가치가 무엇인지 정립하고 우리의 행위가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선한 영향력이 무엇인지 고민한 다음에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강력한 중심을 가지고 바깥으로 확장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결과물이 공유가치가 말하는 결과물과 일맥상통할 수 있으나, 그 생각의 기원을 더듬어 올라가면 차이는 분명히 존재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현 체제와의 타협이 아니라, 변혁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브랜드의(그들의) 가치가, 브랜드가(그들이) 존재할 수 있게끔 한 배경인 환경과 사회의 대원리와 조화를 이룬다는 점일 것이다. 기업의 진화, 공유가치 폴 호켄, 인터페이스, 유영만, 올가홀푸드, 슬로워크, 에코시티서울, 한살림... ‘에코 스피릿’, ‘에코 브랜드’, ‘에코잡’에..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5. 14:29

인터페이스(Interface, Inc.)사, 비즈니스의 개념을 혁신하다. 선(善)의 실천에 따라온 수익

The Interview with 인터페이스 아태지역 세일즈&마케팅 부사장 마이크 레니(Milce Leny) 20세기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여겨지는 괴짜 천재, 리처드 벅민스터 풀러는 1963년 저서《우주선 지구호 사용설명서》에서 ‘우주선 지구(spaceship earth)’의 개념을 주창했다. 자원 한계를 인식하는 관점에 경종을 울렸는데, 풀러는 여기에서 나아가 눈앞에 보이는 부(affluence)에 집착하지 말고 인류를 공동운명체, 즉 우주선 하나에 탑승한 공동체로 보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한 그는 지금은 익숙하지만 50여 년 전에는 매우 생소한 단어였던 ‘시너지(synergy)’를 즐겨 사용했다. ‘함께 일하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synergos에서 유래한 시너지는 두 개 이상의 요소가 독립적인..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21. 17:56

막대무늬 밤나방에게도 좋은 브랜드

에코 시스템 브랜드를 만든 사람은 자연과 경제의 생태계라는 에코 스피릿(Eco Spirit)으로 에코브랜드(Eco Brand)를 만들고, 자연에서 받은 소명을 따라 갖게 된 직분인 에코 잡(Eco Job)으로 미치는 사람이다. 저녁을 먹고 아이들과 함께 거실에서 책을 보고 있는데 엄지손가락만 한 대형 나방이 거실로 날아들어 왔다. 나방은 큰 날개를 팔락이면서 형광등 주변을 부딪치며 날아다녔다. 10살 된 딸은 비명을 지르면서 피해 다녔고, 8살 아들은 자기 방에 들어가 장난감 칼을 들고 나와 휘둘렀다. 아내는 딸과 아들에게 소리 지르지 말라고 소리쳤다. 나는 본능에 의해서 불빛을 따라 들어온 나방을 그저 잠잠히 쳐다보고 있었다. 나의 고민은 어떻게 하면 본능 때문에 위험에 처한 나방을 죽이지 않고 자신이..

에코시스템브랜드 2022. 7. 11. 15:11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Copyright©The Unitas All Rights Reserved
푸터 로고 Sustainable Ecosystem
페이스북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