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유니타스라이프
  • #️⃣️ 태그로 보는 브랜드 주제
  • 해외인터뷰
  • 분류 전체보기
    • about
      • 편집장의 글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런칭 시뮬레이션
      • 브랜드 서신 VOL 26
    • 브랜딩
      • 브랜드, 브랜딩이란?
      • 브랜드 B자 배우기
      • 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 브랜드와 트렌드
      • 작지만 강한, 스마트하게 브랜딩
      • 원형의 브랜딩, RAW
      • 브랜딩의 연금술, 판타지
      • 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 전략의 시각화, 디자인 경영
      • 브랜드 경험
      • 브랜드 철학의 전략화
      • 브랜드의 영혼, 컨셉
      • 브랜드 묵시록, 런칭
      • 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 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 브랜드 팬덤 매니아, 뱀파이어, 오라클
      • 불황에서 브랜딩, 불황으로 브랜딩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브랜드인사이트
      • 브랜드직관력
      • 브랜드임계명언
    • 소셜 브랜드 SOCIAL BRAND
      • 사회적 브랜드
    • 에코시스템브랜드
    •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 자기다움
    • 휴먼브랜드
    • 창업
      • 브랜드창업
      • 창업 입문
    • 프로젝트 다큐
    • 리더십바이러스
    • 유니타스라이프
    • 시장조사와 여행
    • 나듦의 계절, 인디언 섬머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브랜드임계사전

  • 브랜띵

    2023.01.02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 시장

    2023.01.02 by Content director

  • 매체 중립적 사고(Media Neutral Thinking)

    2023.01.02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 창조설과 브랜드 진화론

    2023.01.02 by Content director

  • 스마트 브랜딩

    2023.01.02 by Content director

  • 고전을 면치 못하는 이유

    2023.01.02 by Content director

  •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2022.12.22 by Content director

브랜띵

브랜딩은 브랜드의 ‘브랜드가 되는 과정’을 말한다. 브랜띵은 ‘남의 브랜드를 카피하는 브랜드의 브랜딩’을 말한다. 브랜드는 경쟁하면서 비슷해지고 카피하면서 소멸한다. 출처 : 유니타스브랜드 Vol 23 브랜드임계지식사전 유니타스브랜드 SEASON 2 Choice -1°c breaking -1°c breaking 똑같은 기업 활동이라도 마케팅 관점으로 진행될 때와 브랜딩 관점으로 진행될 때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오늘날의 마케터, 심지어 브랜더조차 흔히 저지르는 실수의 근원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여전히 수익 창출을 1차 목적으로 두고 있는 이들은 왜 영속가능한 브랜드가 될 수 없는지, 그렇다면 변화를 위해서는 어떤 관점이 필요한지를 알게 될 것이다. 종전의 마케팅과 브랜딩에 대한 당신의 얼어 있는, ..

브랜딩/브랜드인사이트 2023. 1. 2. 16:27

브랜드 시장

품질 외에 오리지널, 원형적 심상, 마니악 코드, 역사성, 스토리 등 상품의 본질적 기능 외의 가치가 더 제품으로 인정받는 시장을 말한다 시장과 경제는 크게 종교, 정치, 기술 그리고 문화에 의해 끊임없이 진보한다. 크게 분류해 본다면 1단계 시장은 ‘make and sell’ 시장이다. 수요가 공급을 초과했기에 말 그대로 ‘만들면 팔리는 시장’이다. 기업들의 꿈은 독과점의 형태로 수익을 극대화 하는 것이었고 소비자는 그야말로 ‘봉’이던 시장이었다. 차츰 기술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제품의 차별점은 없어지고 경쟁력을 갖춘 공급자들이 많아지면서 경쟁은 치열해졌다. 2단계 시장인 ‘Sense and respond’ 시장이 시작된 이유다. 기업들은 이때부터 ‘고객 만족’을 이해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시장이 초경쟁..

브랜딩/브랜드인사이트 2023. 1. 2. 16:12

매체 중립적 사고(Media Neutral Thinking)

다양해진 ‘브랜드의 소비자 접점’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 매체에 집중된 사고는 버려야 한다는 의미다. 세분화된 매체를 하나의 광고 전략 아래에서 통합 관리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매체 믹스란 용어다. 보통 TV, 케이블 TV, 라디오, 신문, 잡지, 옥외광고, 인터넷 정도로 분류하던 것이 10년 전인데 아직도 그 기준으로 매체 믹스 차트를 고수하는 마케터들이 꽤 있다. 온라인은 이제 수십 가지(브랜드 홈페이지, 포털 사이트, 블로그, 미니홈피, 유투브, eDM, 트위터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그리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로 세분화되었고 각각에 맞는,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통합된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필요하다. 이때 중요한 것이 매체 중립적 사고다. 다양해진 ‘브랜드의 소비자 접점’을 통합 관리..

브랜딩/브랜드인사이트 2023. 1. 2. 15:31

브랜드 창조설과 브랜드 진화론

브랜드는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진화하며 결정되는, ‘그 무엇’이다. 제품이 창작의 산물이라면 브랜드는 진화의 결정체다. 브랜드를 창조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은 브랜드가 인지도와 충성도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이들은 천문학적인 돈을 들여서 광고와 홍보만으로 상표를 알리려고 한다. ‘많이 알려진 것이 브랜드’라는 생각은 브랜드를 단순히 일차방정식으로 풀어내려는 시도다. 브랜드는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진화하며 결정되는, ‘그 무엇’이다. ‘냉커피’와 ‘아이스커피’라는 단어가 주는 미묘한 어감의 차이처럼 ‘상표’의 세련된 외래어로 느껴지는 ‘브랜드’라는 단어는 미묘한 차이점을 낳았다...

브랜딩/브랜드인사이트 2023. 1. 2. 15:15

스마트 브랜딩

서두르지 않고 되레 성장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는 용기…. 이것이 끝에서 시작을 보면서 되고자 하는 것을 완성하는, 스마트 브랜딩이다. 류시화의 잠언집 제목처럼 만약 당신이 당신 인생의 끝을 볼 수 있다면 지금보다는 훨씬 더 ‘스마트’하게 살 수 있지 않을까? 죽음을 앞둔 당신은 분명 삶에 있어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 최종 직업이 무엇인지 알기에 젊은 시절 정말로 필요한 경험이 무엇인지, 또 어떤 배우자를 만날 줄 알기에 어떤 선택을 해야 할지 등 지금보다는 훨씬 더 현명하게 살 수 있는 방도를 마련할 것이다. 브랜드도 마찬가지다. 만약 그 끝을 볼 수 있다면 오늘 우리 조직이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더 명확히 구분해 내고 좀 더 침착한 모습을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어쩌면 포기할 것은 ..

브랜딩/브랜드인사이트 2023. 1. 2. 15:03

고전을 면치 못하는 이유

아이디어는 많다. 그런데 아이디어에 컨셉이 없다. 컨셉은 많다. 그런데 컨셉에 전략이 없다. 전략은 많다. 그런데 전략에 실행이 없다. 실행은 많다. 그런데 실행에 일관성이 없다. 그러니 고전을 면치 못한다, 우리는. 출처 : 유니타스브랜드 Vol 23 브랜드임계지식사전 유니타스브랜드 SEASON 2 Choice -1°c breaking -1°c breaking 똑같은 기업 활동이라도 마케팅 관점으로 진행될 때와 브랜딩 관점으로 진행될 때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오늘날의 마케터, 심지어 브랜더조차 흔히 저지르는 실수의 근원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여전히 수익 창출을 1차 목적으로 두고 있는 이들은 왜 영속가능한 브랜드가 될 수 없는지, 그렇다면 변화를 위해서는 어떤 관점이 필요한지를 알게 될 것이다...

브랜딩/브랜드인사이트 2023. 1. 2. 14:45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여기서 공주란 1등 브랜드다. 이 공주 브랜드는 시장의 방향을 주도한다.  가장 안정된 시장은 공주와 왕자, 그리고 일곱 난쟁이로 구성된 시장이다. 여기서 공주란 1등 브랜드다. 이 공주 브랜드는 시장의 방향을 주도한다. 왕자는 2등 브랜드를 뜻하는데, 이들은 1등과 함께 현재 시장을 보호하며 진입 장벽을 높인다. 일곱 난쟁이 브랜드들은 3등 혹은 스스로 3등이라고 우기는 브랜드들이다. 이런 2:8법칙이 통치하는 시장이 가장 안정된 시장이다. 이해가 어렵다면 콜라 시장, 스마트폰 시장, 스포츠 신발 시장 등 1등이 독식하는 시장을 떠올려 보라. 코카콜라와 펩시콜라가 콜라 시장을 주도할 때 수많은 난쟁이 콜라들이 나왔지만 그저 그렇게 살다가 사라졌다. 이런 안정된 시장은 (자의와 타의로 생긴) 두 가지 변..

브랜딩/브랜드인사이트 2022. 12. 22. 15:19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Copyright©The Unitas All Rights Reserved
푸터 로고 Sustainable Ecosystem
페이스북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