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유니타스라이프
  • #️⃣️ 태그로 보는 브랜드 주제
  • 해외인터뷰
  • 분류 전체보기
    • about
      • 편집장의 글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의 탄생
      • 브랜드런칭 시뮬레이션
      • 브랜드 서신 VOL 26
    • 브랜딩
      • 브랜드, 브랜딩이란?
      • 브랜드 B자 배우기
      • 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 브랜드와 트렌드
      • 작지만 강한, 스마트하게 브랜딩
      • 원형의 브랜딩, RAW
      • 브랜딩의 연금술, 판타지
      • 브랜드의 진보와 진화, 고등브랜드
      • 전략의 시각화, 디자인 경영
      • 브랜드 경험
      • 브랜드 철학의 전략화
      • 브랜드의 영혼, 컨셉
      • 브랜드 묵시록, 런칭
      • 세상이 바뀌다, 온브랜딩
      • 사람이 바뀌다, 슈퍼내추럴 코드
      • 브랜드 팬덤 매니아, 뱀파이어, 오라클
      • 불황에서 브랜딩, 불황으로 브랜딩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브랜드인사이트
      • 브랜드직관력
      • 브랜드임계명언
    • 소셜 브랜드 SOCIAL BRAND
      • 사회적 브랜드
    • 에코시스템브랜드
    • 브랜드십, 인터널브랜딩
    • 자기다움
    • 휴먼브랜드
    • 창업
      • 브랜드창업
      • 창업 입문
    • 프로젝트 다큐
    • 리더십바이러스
    • 유니타스라이프
    • 시장조사와 여행
    • 나듦의 계절, 인디언 섬머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 아는 것, Simplicity는 Integrity다

    2022.05.04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와 인문학을 가로지르는 좋은 담

    2022.05.04 by Content director

  • 지금 여기에 '브랜드 인문학', 존재와 관계의 중심?

    2022.05.03 by Content director

  • Philosophy. 자기다움으로 남과 다름. 왜 브랜드는 철학을 알아야 하는가?

    2022.05.03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 상상력의 에너지원, 동양 VS 서양 신화 - 변하지 않는 원형을 보다.

    2022.05.02 by Content director

  • 브랜드에는 왜 신화(Myth)가 등장할까? 인간, 신화로 세상을 이해한다.

    2022.04.29 by Content director

  • 신화(Myth), 사람의 Story가 브랜드의 History가 된다.

    2022.04.29 by Content director

  • 애플의 인문학

    2022.04.28 by Content director

  • 인문학적 브랜더와 인문학적 브랜드

    2022.04.28 by Content director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 아는 것, Simplicity는 Integrity다

The interview with 문사철 기획위원 강신주 “잠깐만요, 그런데 이 분은 이제 정직원이 되었습니까?” 인터뷰 중 강신주 박사가 1차 인터뷰 때 따라온 수습 에디터에 관해 편집장이자 발행인인 나에게 대뜸 질문을 했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질문이라 말 그대로 ‘당황’스러웠다. 이 질문이 나오기 직전까지 우리는 경영자와 브랜드 간의 일치성과 진정성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것도 기업에서 신입사원들을 소위 일회성 인간, 혹은 잉여 인간으로 대우하는 것에 대해 심각한 현실이라고 개탄하던 차였다. “아직 아닙니다. 한 달 남았습니다.” “아, 빨리 정식직원으로 발령 내세요, 잘하잖아요.” 그 자리에서는 “예, 알겠습니다”라고 대답할 상황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대답하지 않을 상황도 아니었다..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5. 4. 16:09

브랜드와 인문학을 가로지르는 좋은 담

The interview with 서강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엄정식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실 때의 나이와 비슷한 연배이신 엄정식 교수는 47년 동안 철학을 공부한 분이다. 소크라테스가 살던 시대에는 지금처럼 많은 철학 지식과 자료가 없는 것을 감안한다 해도, 엄정식 교수는 감히 소크라테스보다 더 많은 철학적 사유를 하신 분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런 배경 때문에 인터뷰 중에 혹여, 엄정식 교수로부터 얄팍한 철학 지식으로 브랜드를 설명하려 한다는 책망을 당할까, 인터뷰를 준비하는 내내 불안했다. “브랜드나 제대로 알고 철학에 관한 질문을 하시죠!”라는 말이라도 나오면 어쩌나, 했던 것이다. 그래서 인터뷰가 시작되기 한 시간 전에 이미 약속한 장소에 도착하여, 준비한 여러 가지 질문들에 철학적 단어로 치장(?..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5. 4. 14:44

지금 여기에 '브랜드 인문학', 존재와 관계의 중심?

The interview with 가톨릭대학교 철학과 교수 신승환 “존재적 실존 양식은 오로지 지금, 여기(hic et nunc)에만 있다. 반면 소유적 실존 양식은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 안에 있다. 소유적 실존 양식의 인간은 그가 과거에 축적한 것 - 돈, 땅, 명성, 사회적 신분, 지식, 자식, 기억 등-에 묶여 있다.” - 《소유냐 존재냐》, 에리히 프롬 hic et nunc 몇 년 전만 해도 ‘상품’의 꿈은 ‘소비’되는 것이고, ‘브랜드’의 꿈은 ‘소유’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브랜드가 감히 존재 그 자체가 되고 싶어 한다. 브랜드는 인간 삶의 중심 그리고 관계의 중심이 되고자 열망한다. 그것이 브랜드의 존재 이유와 가치라고 믿고 있다. 그래서 브랜드가 인간의 존재에 관한 질문을 ..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5. 3. 15:37

Philosophy. 자기다움으로 남과 다름. 왜 브랜드는 철학을 알아야 하는가?

브랜딩의 시작은 철학의 이해 브랜드 철학을 세우기 위해서 마케팅팀에서 반드시 플라톤과 칸트를 연구할 필요는 없다. 자신의 브랜드가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정리할 줄 알면 된다. 그렇게 정리된 것을 브랜드 경영자부터 판매사원까지 모두 지키고 있다면 그 브랜드는 자기다움, 곧 브랜드의 철학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브랜드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 부르디외의 구별짓기나 들뢰즈의 시뮬라크르라는 개념을 완벽하게 소화할 필요는 없다. 브랜드에서 변할 것과 변하지 말아야 할 것을 분명히 알고 있고 모든 직원들이 그것을 인식하고 분별할 수 있다면 브랜드의 정체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자신의 브랜드가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정리할 줄 알면 된다. 브랜드 철학이 확고한 브랜드에게는 일반적인 브랜..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5. 3. 12:01

브랜드 상상력의 에너지원, 동양 VS 서양 신화 - 변하지 않는 원형을 보다.

The interview with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정재서 이화여대 인문관에 마련된 정 교수의 방에 들어가면 정말 호그와트에 있는 덤블도어 교수의 비밀스러운 방에 들어왔다는 착각이 든다. 대부분의 교수 연구실은 좌우로 책장이 놓여 있지만, 이 방은 공간도 다소 좁은 데다 그 좁은 방의 정 중앙에 책장이 놓여 있다. 그래서 문을 열고 방에 들어서는 순간 미로의 시작 부분에 서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7층으로 이루어진 인문관의 가장 꼭대기 층에 위치했기에 마치 마법학교 옥상에 와 있는 듯했다. 주변에 책들을 힐끔거리며 쳐다보았다. 한자와 상형문자가 빼곡히 새겨진 빛바랜 누런 책들, 그리고 원시 시대 동굴 벽화에서나 볼 수 있는 그림들이 여기저기 놓여 있었다. 무엇보다도 책상 위에 있는 수정체..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5. 2. 16:42

브랜드에는 왜 신화(Myth)가 등장할까? 인간, 신화로 세상을 이해한다.

The interview with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센터 연구원 장영란 여신 니케는 브랜드 나이키로 환생했고, 에리스는 여전히 우리들 중에 누가 더 지혜로운지를 확인하기 위해 애플을 던진다. 그 옛날 에르메스는 우리를 하데스로 안내했지만, 지금은 자신의 매장으로 우리를 안내하고 있다. 신화가 브랜드가 되고, 브랜드가 신화가 되는 현재의 시장에서 브랜드와 신들의 이종교배가 시작되었다. 브랜드가 왜 자꾸 신화를 탐할까? 신화, 세상을 이해하는 원리 UnitasBRAND 유니타스브랜드의 창간 특집이 ‘판타지 브랜딩’이었는데요, 특집기사 중의 하나가 *‘백화점은 신들의 놀이터다 - 신들의 박물관’이라는 거였어요. 백화점 문을 열고 들어서면, 에르메스를 시작으로, 제우스, 헤라, 미네르바 등 신화에서 그 ..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4. 29. 15:35

신화(Myth), 사람의 Story가 브랜드의 History가 된다.

승리의 여신 니케는 브랜드 나이키로 환생이 되어 BC 776년에 종교 행사로 시작된 올림픽 게임의 장기 후원자로 여전히 수많은 용사(스포츠 선수)들에게 승리의 기쁨을 주고 있다. 신화의 이야기는 브랜드의 몸을 빌려 환생한 후 수 천 년 전의 행사를 지금까지도 현재형으로 만들어 버린 것이다. 신화는 수천 년 전 인간들이 자신들 안에 존재하고 있는 보이지 않는 가치, 욕망, 두려움, 갈망, 관계, 선과 악, 목적, 충성심 등을 신들의 이야기로 말해주고 있다. 이처럼 좋은 브랜드는 수 천 년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오늘의 이야기도 들려주고 있다. 당신의 브랜드는 현재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가? 브랜드는 소리치지 않는다, 속삭인다 ‘시장은 상품이 아니라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얼핏 들으면 순간적으로 공감은..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4. 29. 14:42

애플의 인문학

Think Different, Act Different 이론적으로 이론과 실재(사실)는 차이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론과 실재는 차이가 있다. 그런 차이에 대해서 아인슈타인은 이론과 실재가 틀리면 실재를 바꾸라고 한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것이 바로 특수 상대성 이론이다. 애플에게는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과는 다른 애플만의 특수 상대성 이론이 있었다. 그것이 바로 ‘다르게 생각하라(Think Different)’다. 과연 다르게 생각하면 무엇이 달라질까? 다르게 생각하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다르게 생각해서 만든 상품을 사람들이 좋아할까? 경영인들에게 ‘다르게 생각하라’고 말하면 장사치들은 조건반사식으로 이런 말을 할 것 같다. “그러면 돈이 되나요?” 스티브 잡스가 지병으로..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4. 28. 18:30

인문학적 브랜더와 인문학적 브랜드

인문학적 브랜더 채용, 그리고 마녀사냥 15세기부터 17세기에 유럽에서는 마녀라는 죄명으로 적게는 20만 명에서 많게는 50만 명의 여자들이 화형을 당했다고 한다. 이런 마녀사냥은 유럽에서는 1차 세계 대전 이후에, 미국에서는 1970년대 이후에 공식적(?)으로 사라졌다. 하지만 아프리카에서는 여전히 공공연하게 마녀사냥이 자행되고 있으며, 인도에서도 마녀사냥으로 인해 매년 200여 명의 여자들이 죽는다. 마녀사냥의 목적은 사회 공포 분위기 조성, 과부들의 재산 탈취, 권력자들의 범죄 은닉 등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것들이다. 이유야 어떻든 간에 결과는 즉각적이며 효과적이다. 특히 마녀사냥은 타락한 종교 지도자들이 자신들의 힘을 보여주고자, 혹은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즐겨 사용했던 일종의 ‘소셜 엔터테인..

브랜딩/브랜드 인문학, 인문학적브랜드 2022. 4. 28. 18:27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Copyright©The Unitas All Rights Reserved
푸터 로고 Sustainable Ecosystem
페이스북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